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단칠정 논쟁의 과정과 이황의 성리학적 입장
Ⅲ. 사단칠정 논쟁의 공유와 그 의미
Ⅳ. 논쟁에 따른 퇴계학단의 사칠론 이해와 전승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의 사칠론 변화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
대동철학
2019 .01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필담창화집에 보이는 퇴계(退溪) 관련 필담의 의미
서강인문논총
2015 .12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한국철학논집
2017 .02
황진이의 작품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와 욕망 탐색
열상고전연구
2015 .06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수심(修心)·수신(修身)·수사(修辭)
수사학
2021 .12
퇴계 선(善)의 이중성과 유일성
동아인문학
2015 .12
이만부의 성리설 연구: 근기 퇴계학맥과 관련하여
한국학논집
2021 .03
김창협의 사단칠정 논의 고찰 : 퇴 율절충론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孔子學
2024 .02
선비의 결단 1910 : 향산 이만도의 앎과 삶, 그리고 퇴계학의 지평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조선 유학 중의 「인심도심도(人心道心圖)」 도상 분류와 철학적 사고
퇴계학보
2023 .06
A Contemporary Assessment of the “Four-Seven Debate”: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al Psychology of Yi Hwang and Ki Dae-seu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9 .02
龜巖 李楨의 인적 네트워크 - 지식문화적 교유망과 ‘龜巖學統’의 實際 -
퇴계학보
2022 .12
우암 송시열의 사단칠정설과 그것에 대한 비판과 옹호
열상고전연구
2016 .10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퇴계의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민족문화연구
2017 .01
기대승(奇大升)의 리기심성론(理氣心性論)과 사칠론(四七論)
동아인문학
2017 .03
退溪 書札의 意義와 現況
퇴계학논집
2019 .01
퇴계 이황의 역사의식과 경세사상 및 그 구현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2021 .08
<이대봉전>의 여성 주도적 혼인 서사의 양상과 의미
동양고전연구
2020 .01
퇴계 이황의 리(理)에 대한 해석의 갈래 -“리동(理動)·리발(理發)·리도(理到)” 이해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