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나민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수사학회 수사학 수사학 제42집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17 - 143 (27page)
DOI
10.31325/KJR.2021.12.42.11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퇴계의 맘과 몸 수양을 바탕으로 발화하는 말이 현실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그 수사학적 맥락을 탐구하고자 한다. 맘을 닦은 수심(修心)과 몸을 닦는 수신(修身)을 기반으로 퇴계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말 닦음 즉 수사(修辭)의 면모를 구체적인 사례 관찰을 통해 살펴본다. 이는 막연히 동양인은 유학(儒學)의 영향을 받아 말을 조심하고 침묵을 덕으로 삼는다는 통념에 대하여 그 유가적 작동원리를 규명하는 작업이다. 아직은 미증유(未曾有)의 초보적 단계이지만 유가철학과 그 유가적 삶이 추구했던 수사(修辭) 전통을 이해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퇴계는 무조건 말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말을 하지 않았고 필요할 때는 논리정연한 말을 전개하여 의문이 남지 않을 때까지 밝혔다. 이러한 화법을 예의바르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들어 구사했기에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소통의 자리로 이끌었다.
퇴계는 맘(修心)•몸(修身)•말(修辭) 수행(修行)을 그의 전 인생에 걸쳐서 처절하게 구현했는데 이러한 빈틈없는 인생 역정(歷程)은 성리학이라는 유가(儒家)적 학문의 전통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병마에도 불구하고 맘•몸•말을 초지일관 수련했기에 70세까지 장수하면서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이기론(理氣論)을 발전시켜 성리학의 지평을 더욱 넓힐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수심 修心 『성학십도(聖學十圖)』
3. 수신(修身) - 『활인심방(活人心方)』
4. 수사(修辭) -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