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한국철학논집
2017 .02
퇴계학의 현대화 · 일상화 · 대중화 방안 : 퇴계학에서 퇴계문화로
안동학
2017 .12
현대 행정에 있어서 퇴계 사상의 적용 방안
인문학논총
2017 .10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두 번의 만남
퇴계학논집
2018 .01
단양 1548 -단양군수 퇴계 이황을 논함-
철학∙사상∙문화
2024 .01
이만부의 성리설 연구: 근기 퇴계학맥과 관련하여
한국학논집
2021 .03
退溪 李滉의 敎學精神과 詩世界
퇴계학논집
2015 .01
영남지역 퇴계학파의 율곡학에 대한 두 시선
율곡학연구
2022 .09
퇴계의 학문과 퇴계학 계승 양상
안동학
2017 .12
필담창화집에 보이는 퇴계(退溪) 관련 필담의 의미
서강인문논총
2015 .12
퇴계 이황의 역사의식과 경세사상 및 그 구현에 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2021 .08
韩国儒学在汉字文化圈中的呈现与解释 - 以中日退溪学研究为中心的考察
한국철학논집
2018 .01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수심(修心)·수신(修身)·수사(修辭)
수사학
2021 .12
退溪 書札의 意義와 現況
퇴계학논집
2019 .01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퇴계의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민족문화연구
2017 .01
조선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2019 .01
사단칠정 논쟁에 보여준 퇴계학파 초기 제자들의 사단칠정 이해
종교문화연구
2018 .12
향산 이만도의 현실인식과 사유세계
안동학
2019 .12
퇴계학의 교육적 활용 방안
안동학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