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비둔(肥遯)을 통해 본 퇴계와 율곡
Ⅲ. ‘산금(山禽)’ 및 ‘장왕(長往)’으로 이해된 퇴계의 신퇴
Ⅳ. 신퇴에 의한 비둔의 삶
Ⅴ. 비둔에 깃든 즐거움과 신선처럼 사는 꿈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두 번의 만남
퇴계학논집
2018 .01
이황의 [도산잡영]에 그린 도산의 삶과 산수지락
퇴계학논집
2018 .01
尹愭의 泮中雜詠에 나타난 成均館 齋生들의 생활상과 교육
동방한문학
2020 .01
도덕 감정에 관한 퇴계와 율곡의 사유- 상호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8 .01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조선 성리학의 심성교육 : 퇴계, 율곡, 명재를 중심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2018 .03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수심(修心)·수신(修身)·수사(修辭)
수사학
2021 .12
필담창화집에 보이는 퇴계(退溪) 관련 필담의 의미
서강인문논총
2015 .12
민생위기 시대에 되새기는 율곡 이이의 생민정치
생명연구
2016 .11
선비의 결단 1910 : 향산 이만도의 앎과 삶, 그리고 퇴계학의 지평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이만부의 성리설 연구: 근기 퇴계학맥과 관련하여
한국학논집
2021 .03
현대 행정에 있어서 퇴계 사상의 적용 방안
인문학논총
2017 .10
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8 .01
율곡 이이의 인간론
율곡학연구
2020 .01
시가 문학과 철학을 통해 본 퇴계와 율곡의 리더십
韓國古典硏究
2016 .01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퇴계 문하 입문과 도산서원 종향
국학연구
2024 .11
사단칠정 논쟁에 보여준 퇴계학파 초기 제자들의 사단칠정 이해
종교문화연구
2018 .12
기질의 문제로 본 퇴계와 율곡의 수양론
퇴계학논집
2017 .01
파주 화석정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2024 .04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퇴계의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민족문화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