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임영길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저널정보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한국한문학연구 제90호
발행연도
2024.4
수록면
331 - 366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종래에 밝혀진 화석정의 변천 과정을 재검토하고 역사․문화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문헌자료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화석정은 15세기 초 이이의 5대조 李明晨이 창건한 이래 이명신의 손자 李宜碩, 이의석의 증손 李珥, 이이의 종증손 李厚芷․李厚芳 형제에 의해 여러 차례 중건을 거듭하였고, 18세기 초반 무렵까지 李綰․李綄 등 이후지․이후방의 자손들이 거주하면서 관리하다가, 19세기 중반 이이의 8대손 李奎信의 주관 하에 또다시 중수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화석정은 이이 집안에서 선대의 유지를 계승하여 주거 공간으로 조성한 ‘별서’로 인식되었다. 특히 이이 대에 이르러 同宗이 모여 살면서 전장을 가꾸고 향약을 실천하며 강학하는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이이 사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화석정이 1670년경 다시 중수되면서 주로 노론계 인사들의 지원 아래 이이를 경모하는 곳이자 유학의 도통을 상징하는 장소로 각인되었다. 18∼19세기에 화석정을 방문한 문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화석정 내부에는 成渾의 손자 成稷이 쓴 이이의 「화석정」 시를 비롯하여 徐居正, 金宗直, 鄭澈, 金壽恒, 朴世采, 李端夏, 李箕鎭, 洪良浩 등의 차운시 현판이 있었으며, 宋時烈이 쓴 ‘화석정’ 편액이 걸려 있었다. 화석정 앞에는 이이가 손수 심은 전나무도 존재하였다. 아울러 화석정은 파주와 임진강을 대표하는 명승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1582년 원접사 이이와 명 사신 黃洪憲․王敬民의 수창시는 화석정을 한중 지식인의 문화교류 공간으로 자리하게 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