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 이황의 ‘肥遯’ 지향적 삶의 의미
양명학
2022 .12
이광수의 『도산 안창호』 평전 연구
인문학연구
2019 .12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문화 체험 공간으로서 안동 陶山書院이 지닌 가능성과 문화 콘텐츠 활성화 방안 - 시조 <陶山十二曲>의 활용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2019 .01
Last Journey to America: Deportation of Dosan Ahn Chang Ho (1924-1926)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0 .06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퇴계 문하 입문과 도산서원 종향
국학연구
2024 .11
필담창화집에 보이는 퇴계(退溪) 관련 필담의 의미
서강인문논총
2015 .12
「무정」에 구현된 도산의 정의돈수사상과 유정한 사회에 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2018 .06
조선 유학 중의 「인심도심도(人心道心圖)」 도상 분류와 철학적 사고
퇴계학보
2023 .06
황진이의 작품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와 욕망 탐색
열상고전연구
2015 .06
파주 화석정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2024 .04
낙동강은 도산에 이르러 비로소 강이 되었다 : 도산9곡, 예던길을 따라서
안동학
2017 .12
18세기 도산서원의 회화적 구현과 그 의미 - 姜世晃과 鄭敾의 陶山書院 그림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6 .01
황해도굿 중 <도산말명거리>의 의미와 신격의 고찰
문화와 예술연구
2021 .12
안동시 도산면 소재 세 가지 고려금석문의 연구과제
영남학
2020 .01
17세기 서원 인식의 변곡점, 조목趙穆의 도산서원 종향 — 예안의 도산서원[鄕賢祠]과 국가의 도산서원[國學], 양자의 충돌
국학연구
2023 .03
A Contemporary Assessment of the “Four-Seven Debate”: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al Psychology of Yi Hwang and Ki Dae-seu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9 .02
19세기 강화학파 학자들의 현실 인식과 대응 논리― 李是遠과 李建昌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8 .01
『창조』와 실연
현대문학의 연구
2017 .02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경(敬)사상과 평화실천과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