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명종대 정국과 이황의 낙향
3. 『주자서절요』의 편찬과 ‘성리학 공동체’의 구상
4. 「향립약조鄕立約條」의 작성과 예안지역 향약시행 논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 이황 설화의 담론화 양상과 의미의 분기
구비문학연구
2022 .03
퇴계 이황의‘감성철학’ - 땅 관념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6 .01
퇴계 이황의 ‘감성철학’ ― ‘청량산’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7 .01
진주 마호당 고문서에 나타나는 향촌 사족의 일상
장서각
2023 .10
조선 서원의 발전과정과 향촌사회에서의 역할
안동학
2016 .12
구암학 연구의 자료 범위와 한국유학사에서 구암 이정의 역할
민족문화연구
2022 .05
중국 향촌건설운동 연구 동향 탐색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16세기 조선 사상계의 동향과 노수신(盧守愼)
한국사상사학
2015 .01
18세기 조선과 일본에서 편집한 이황 서찰 선집에 대한 일고찰 - 『退溪先生書節要』와 『李退溪書抄』를 중심으로 -
장서각
2019 .10
『주자서절요』의 편찬이 퇴계학 성립에 미친 영향
국학연구
2022 .11
조선시대 향촌조직 결성의 양상과 추이 고찰 -강릉지방의 사레를 중심으로-
江原史學
2015 .01
18세기 장흥지역 향촌의 위기상황과 대응양상-<임계탄(壬癸嘆)>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20 .01
예안향약의 성립과정
국학연구
2024 .07
시진핑 체제 중국의 향촌을 둘러싼 의미망 : 원톄쥔 그룹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21 .06
퇴계 선(善)의 이중성과 유일성
동아인문학
2015 .12
現代新儒家梁漱溟鄉村教育實驗的理論建構探析
역사문화연구
2015 .01
선조 초반의 정국과 학문적 대응— 이황과 기대승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북한의 이황 철학 연구 -객관적 관념론에서 신학적 관념론으로-
철학
2023 .11
19세기 후반 경상도 상주의 향촌문제와 동학농민전쟁
대구사학
2023 .02
16세기 율곡 鄕政論의 구조와 특징
율곡학연구
2024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