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藏書閣 제42집
발행연도
2019.10
수록면
182 - 212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8세기에 편집된 退溪 李滉(1501~1570)의 서찰 선집으로는 스구리 교쿠수이(村士玉水, 1729~1776)의 『이퇴계서초』와 李象靖(1711~1781)의 『퇴계선생서절요』가 있다. 이보다 이전 시기에 정리된 이황 서찰 선집으로 鄭焜의 『李子書節要』가 있고, 이후 시기로는 金悳鍊의 『退書類輯』·李庭魯의 『退書百選』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퇴계선생서절요』 발문에서 접점이 보이는 일본의 『이퇴계서초』와 조선의 『퇴계선생서절요』를 중심으로 살핀다.
『퇴계선생서절요』와 『이퇴계서초』 모두 『퇴계집』에 실려 있는 서찰의 순서를 따랐으며, 이황이 『주자서절요』를 편집한 체제를 본떴기에 전반적으로 비슷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나, 受信者·目次 提示·注解 方式·序文 有無 등에서 세부적인 차이를 보였다. 『퇴계선생서절요』는 『이퇴계서초』에 비해 다양한 인물을 실었고, 『이퇴계서초』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물을 다루면서 더 많은 수의 서찰을 실었다. 『이퇴계서초』는 이황의 「연보」와 「행실」을 상세하게 싣고 각 권마다 수신자 명단과 서찰 수를 기입하였으며, 고가 세이리(古賀精里, 1750~1817)의 서문과 오카다 간센(岡田寒泉)의 後識가 실려 있다. 『퇴계선생서절요』는 서문을 누락하고, 諸子目錄에서 수신자의 字·號·출신 및 이황과의 관계를 밝혔다.
이상정이 편집한 『퇴계선생서절요』는 그의 제자 鄭宗魯(1738~1816)와 金㙆(1739~1816)의 발문이 붙여져서 간행되었다. 두 사람의 발문을 통해 이상정의 高弟 金宗德이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손자 이병운이 간행을 주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병운은 「퇴계선생서절요」 발문에서 村士玉水가 편찬한 『이퇴계서초』가 使行을 통해 조선에 전래되었음을 밝히면서, 『퇴계선생서절요』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음을 드러내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퇴계선생서절요』에는 이상정의 서찰이 실려 있지 않으나, 『大山全書』 권4에 수록된 『퇴계서절요』(『퇴계선생서절요』) 권10 말미에는 편집 경위와 선별 기준에 대한 단서가 담긴 이상정의 서찰이 실려 있다. 이 『대산전서』에 수록된 『퇴계서절요』는 목판본으로 간행하기 이전에 편집된 稿本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退溪先生書節要』와 『李退溪書抄』의 체제
Ⅲ. 두 書札 選集의 편집 경위와 유통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151-001308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