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들어가는말
2. 『주자서절요』 발간 시기와 퇴계학의 형성
3. 이황이 본 주자서朱子書의 중요성과 그 특징
4. 『주자서절요』 편집에서 드러난 퇴계학의 특징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 Contemporary Assessment of the “Four-Seven Debate”: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al Psychology of Yi Hwang and Ki Dae-seu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9 .02
從與朱熹的比較看李滉的文學觀點
중국어문학논집
2019 .10
『朱子書節要』에 나타난 退溪의 朱子思想에 대한 이해
퇴계학보
2019 .01
퇴계 이황의 『주역』 공부-퇴계 이황의 주자학 이해의 심화과정에 대한 한 고찰
동양한문학연구
2018 .01
퇴계 이황의 『송계원명이학통록』에 대한 기초적 분석
퇴계학논집
2015 .01
선비의 결단 1910 : 향산 이만도의 앎과 삶, 그리고 퇴계학의 지평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퇴계학의 교육적 활용 방안
안동학
2017 .12
서한으로 본 이황의 향촌관과 성리학적 공동체 모색
국학연구
2023 .11
금계 황준량의 녹봉정사 설립과 성주목사 재직시절의 활동
한국학논집
2020 .03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퇴계학의 현대화 · 일상화 · 대중화 방안 : 퇴계학에서 퇴계문화로
안동학
2017 .12
연평답문(延平答問) 의 지향점과 퇴계 이황의 철학
한국철학논집
2024 .08
필담창화집에 보이는 퇴계(退溪) 관련 필담의 의미
서강인문논총
2015 .12
사단칠정 논쟁에 보여준 퇴계학파 초기 제자들의 사단칠정 이해
종교문화연구
2018 .12
형벌과 법제에 대한 주자학의 인식 연구 - 주희(朱熹)와 채침(蔡沉)의 서경(書經) 해석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9 .01
韩国儒学在汉字文化圈中的呈现与解释 - 以中日退溪学研究为中心的考察
한국철학논집
2018 .01
주희(朱熹) 철학에서 이순(耳順)의 형이상학적 의미 -『논어(論語)』 ‘지우학(志于學)’장에 대한 주희의 해석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8 .12
조선시대 성리학의 연원인 주자학의 전개 양상 그리고 양명학에 대한 오해
동양철학연구
2019 .01
조선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2019 .01
퇴계 이황의‘감성철학’ - 땅 관념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