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서원의 발전과정과 향촌사회에서의 역할
안동학
2016 .12
18세기 장흥지역 향촌의 위기상황과 대응양상-<임계탄(壬癸嘆)>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20 .01
진주 마호당 고문서에 나타나는 향촌 사족의 일상
장서각
2023 .10
시진핑 체제 중국의 향촌을 둘러싼 의미망 : 원톄쥔 그룹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21 .06
중국 향촌건설운동 연구 동향 탐색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서한으로 본 이황의 향촌관과 성리학적 공동체 모색
국학연구
2023 .11
現代新儒家梁漱溟鄉村教育實驗的理論建構探析
역사문화연구
2015 .01
19세기 후반 경상도 상주의 향촌문제와 동학농민전쟁
대구사학
2023 .02
조선 후기 향촌의례(鄕村儀禮) 내용과 그 의미
동아시아고대학
2023 .03
윤이후의 『지암일기』를 통해 본 죽도 별업생활과 향촌활동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1 .05
남석하 가사의 특징과 19세기 향촌사족의 시적 지향
고전문학연구
2019 .01
18 · 19세기 전라도 영광군 밀양 박씨家의 사회 · 경제적 지위와 역할-영광군 염소면 밀양 박씨가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8 .01
월간 이전 · 창석 이준 형제의 전쟁체험과 애민정신, 그리고 존애원
국학연구
2016 .08
17~18세기 영남지역 일기를 통해 본 향촌 공론의 변화와 사회관계망의 작용
안동학
2016 .12
임진왜란기 거창 지역 사족 층의 대응 양상
역사와 세계
2019 .12
16세기 율곡 鄕政論의 구조와 특징
율곡학연구
2024 .03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의 연구 성과와 새로운 전망 : (장동표, 2015,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태학사, 473쪽)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5 .11
朝鮮時代 非士族 喪禮의 정착 양상과 그 성격
동국사학
2023 .04
『경세유표』와 정약용의 통치론 : 신분 질서와 예치禮治 문제를 중심으로
다산학
2017 .01
18~19세기 선교장의 지역적 위상 변화의 추이 : 강릉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장서각
2018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