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머리말
Ⅱ. 武周 정권과의 관계
Ⅲ. 開元期에서의 활동과 봉선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前燕 속의 ‘高句麗系 流民’
이화사학연구
2021 .12
640년대 전반 ‘麗濟連和’의 실상과 唐의 백제 인식
사학연구
2021 .03
入唐 百濟 遺民과 그 후손들의 혼인과 가족 관계 - 高句麗 遺民과의 비교 -
목간과문자
2024 .12
고구려 유민 묘지명에 나타난 당인 관인의 ‘高句麗’ 인식
동서인문학
2018 .02
한국시가의 流民에 대한 시선과 시적 정의
민족문화연구
2015 .01
7세기 후반 신라의 지배질서 정비와 여제 유민의 대응
한국사연구
2023 .06
발해 유민사 관련 고고학 자료의 검토
고구려발해연구
2015 .07
고구려 검모잠·안승 세력과 대신라관계 인식
신라사학보
2020 .08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대구사학
2018 .01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을까
역사비평
2019 .08
660년대 고구려의 대남방 전략
대구사학
2018 .01
고구려 유민 묘지명의 고구려 관련 전승과 그 계통
역사와현실
2020 .09
644년 당의 대고구려전 파병 요구와 신라의 대응
신라사학보
2022 .04
연기지역 백제 유민의 불상 조성
백산학보
2022 .04
통일에서 분열로 : 후백제의 성립 배경과 관련하여
신라사학보
2018 .04
7세기 동아시아의 정세와 전쟁 : 신라의 백제 통합과 관련하여
신라사학보
2016 .12
당의 고구려 고지(故地) 지배 방식과 유민(遺民)의 대응
역사와현실
2016 .09
보덕국의 탄생과 그 의미
대구사학
2018 .01
고구려유민의 백제 金馬渚 배치와 報德國
한국고대사연구
2015 .06
한성기 백제토기 하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역사학보
202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