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머리말
II. 百濟 遺民의 入唐 시 가족 구성
III. 百濟 遺民의 혼인과 가족 구성원의 변화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7세기 왜국의 外征과 內戰의 ‘戰後처리’와 일본의 탄생
日本思想
2017 .01
한국 내 무슬림 난민의 현황, 난민제도의 이해 및 한국 기독교 교회의 과제
Muslim-Christian Encounter
2016 .03
7세기 후반 신라의 지배질서 정비와 여제 유민의 대응
한국사연구
2023 .06
당의 고구려 고지(故地) 지배 방식과 유민(遺民)의 대응
역사와현실
2016 .09
To Make Live : Representing and Protesting Refugee Agency
Localities
2016 .11
‘內臣之番’으로서의 百濟 · 高句麗遺民 -武周시기부터 玄宗 開元期에 이르기 까지 유민 양상과 그 변화-
고구려발해연구
2019 .07
일본 난민정책과 국익의 연계
일본연구
2017 .01
동북아 난민문제의 정치외교적 대응격차
담론201
2019 .01
연기지역 백제 유민의 불상 조성
백산학보
2022 .04
조선 현종~숙종 연간 기후 재난의 여파와 유민(流民) 대책의 변화
역사와현실
2020 .12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의 喪葬禮
한국고대사연구
2021 .12
고구려 검모잠·안승 세력과 대신라관계 인식
신라사학보
2020 .08
고구려 유민 묘지명의 고구려 관련 전승과 그 계통
역사와현실
2020 .09
[총론] 당대(唐代) 묘지명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유민(遺民) 일족(一族)의 동향
역사와현실
2016 .09
야스퍼스의 실존적 상호소통에 기초한 난민문제에 대한 고찰
동서철학연구
2019 .01
공항난민의 의사소통 문제와 언어 인권
사회언어학
2020 .01
난민과 국민: 『난민87』과 『어느 날 난민』의 서사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2024 .03
제주도민의 난민 인식
탐라문화
2021 .01
당의 고구려 유민 정책과 유민들의 동향
역사와현실
2016 .09
640년대 전반 ‘麗濟連和’의 실상과 唐의 백제 인식
사학연구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