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발해 유민 관련 고고학 자료의 검토
Ⅲ. 고고학을 통해 본 발해 문화의 고려 전승
Ⅳ. 맺음말 -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시가의 流民에 대한 시선과 시적 정의
민족문화연구
2015 .01
渤海國과 契丹(遼) 關係史의 硏究爭點과 向後 課題
중국사연구
2017 .01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북한의 연구동향
백산학보
2015 .01
헤이안 시대 문학작품에 나타난 발해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
아시아문화연구
2021 .04
발해유민 디아스포라의 고고학적 증거들
인문논총
2023 .02
이민자에 대한 조선 사회의 태도와 그 반응-명 유민(遺民)을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20 .01
북한의 발해건축 관련 연구와 향후 우리의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2018 .07
발해 유민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역사와 세계
2020 .06
러시아지역의 발해-말갈문화권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연구
2022 .11
7세기 왜국의 外征과 內戰의 ‘戰後처리’와 일본의 탄생
日本思想
2017 .01
‘內臣之番’으로서의 百濟 · 高句麗遺民 -武周시기부터 玄宗 開元期에 이르기 까지 유민 양상과 그 변화-
고구려발해연구
2019 .07
王士禎의 작품 속에 표현된 遺民意識 양상 고찰
중국학논총
2021 .01
조선시대의 발해 지리 인식과 전환 - 지리지의 발해 지리 정보 누락 원인을 중심으로 -
역사와 세계
2020 .06
발해유적 현황 정리의 금자탑~한자리에 모인 세 갈래의 발해유적 - 정석배 외, 『발해유적총람』 ⅠㆍⅡㆍⅢㆍⅣ (예지안, 2023) -
고구려발해연구
2023 .07
발해의 서북쪽과 북쪽 경계에 대해 - 고고학자료를 중심으로 -
고구려발해연구
2020 .07
[여백의 미가 살아 있는 공간] 시처럼 본질적인 질문과 마주하게 하는 공간 : 유민미술관
PAPER
2021 .03
완충지대로서의 요동을 통해 본 신라·발해·당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우수리 강 유역의 중세유적 분포현황과 특징 -발해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2017 .01
발해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고려의 고구려・발해 지리(地理) 인식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2024 .04
건축기술 방면으로 본 발해문화의 다양성
유라시아문화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