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퇴계 이황, 위기지학爲己之學으로 빚은 전인적 인격
2. 퇴계를 향한 시선의 확장, 학學에서 문화文化로
3. 퇴계문화의 현대화 · 일상화 · 대중화 방안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학의 교육적 활용 방안
안동학
2017 .12
퇴계의 학문과 퇴계학 계승 양상
안동학
2017 .12
에도시대 유학자들의 퇴계학 傳承과 그 학맥 ― 특히 큐슈 학파를 중심으로
퇴계학보
2017 .01
임란기 구미 · 선산 지역의 유학과 학맥
국학연구
2016 .08
선비의 결단 1910 : 향산 이만도의 앎과 삶, 그리고 퇴계학의 지평
현대유럽철학연구
2019 .01
영남지역 퇴계학파의 율곡학에 대한 두 시선
율곡학연구
2022 .09
초기 퇴계학파 제자들의 『심경부주心經附註』 이해와 퇴계학의 심학적 경향
국학연구
2017 .11
退溪에 대한 설화적 기억과 性 담론 고찰
고전과 해석
2020 .01
韩国儒学在汉字文化圈中的呈现与解释 - 以中日退溪学研究为中心的考察
한국철학논집
2018 .01
『주자서절요』의 편찬이 퇴계학 성립에 미친 영향
국학연구
2022 .11
다산은 과연 퇴계를 수용하였는가?
퇴계학논집
2020 .01
도산서원 ‘濯纓潭’의 詩的 형상화 양상과 의미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1 .01
중한 음운론적 대조연구와관련된 연구령역의 문제
중국조선어문
2017 .11
단양 1548 -단양군수 퇴계 이황을 논함-
철학∙사상∙문화
2024 .01
낙재 서사원의 철학사상
한국학논집
2018 .12
퇴계 인성론의 토대로서 리발(理發)에 관한 일고찰
퇴계학논집
2017 .01
퇴계의 경(敬)이 스포츠 교육방법에 주는 의미
석당논총
2020 .01
현대 행정에 있어서 퇴계 사상의 적용 방안
인문학논총
2017 .10
퇴계예학의 현대적 의미와 전승 양상 : 제례문화를 중심으로
안동학
2015 .12
퇴계 이황의 『經書釋義』 의 저변에 대한 일고
南冥學硏究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