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일본군의 大田 배치 과정과 주둔 시설
Ⅲ. 大田 주둔 부대의 군사 활동과 조선 주둔군 사령부의 이전 계획
Ⅳ. 패전 전후 大田 내 군사령부 구축 시도와 그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해방 직후 일본군의 귀환 수송과 부산항
역사와실학
2021 .04
식민도시 대전의 기원과 도시 공간의 형성
도시연구
2021 .07
아시아태평양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항도부산
2022 .08
대전 원도심지역 이주민 이입(移入) 배경과 활동양상 - 도시민속학의 관점으로 -
비교민속학
2020 .10
1910~1930년대 대전의 도시개발과 재조일본인사회
도시연구
2021 .11
중일전쟁 이후 조선군의 ‘평양사단’ 증설과 그 의미
숭실사학
2020 .01
在朝日本人 쓰지 긴노스케(辻謹之助)를 통해서 본 일제하 대전의 일본인사회와 식민도시 대전
서강인문논총
2018 .04
192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항공부대 설치와 지역사회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8
일제강점기 부산의 일본불교계 현황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1
해방 이후 대전피혁의 운영과 재편결과
서강인문논총
2020 .12
임진왜란 전반기 조명 군사 협력의 일단 -함경도 일본군 퇴각과 관련하여-
한일관계사연구
2019 .11
태평양 전쟁 말기 요카렌(予科練)의 제주도 주둔과 위안소 -성산 지역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2019 .01
조선간행 잡지의 ‘해양성’ -『조선급만주』와 『조선공론』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정유재란 시기 전라도 지역 일본군 동향과 조선의 대응
전북사학
2022 .07
한국전쟁 영상과 또 다른 대전지역사 쓰기: 교량과 철도 파괴 영상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21 .05
임진왜란기 대구 수령의 전쟁 대응과 사족의 전쟁 체험
역사와경계
2016 .03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의 시가지계획과 군사기지화 정책
영남학
2021 .09
러일전쟁 이후 일본육군의 팽창과 徵兵 管區 변화
학림
2019 .01
해방 직후 미국의 남한 점령 계획과 부대 배치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역사학연구
2017 .08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 침략전쟁을 통해 본 군사사상의 전통과 함의
군사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