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사단칠정의 互發과 渾淪
3. 인심도심의 分言과 合言
4.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단칠정논쟁에 대한 재고찰
동방학
2015 .01
‘四端理發而氣隨之’ 해석의 쟁점
퇴계학보
2023 .06
현대 병든 사회의 치유와 통합을 위한 원불교적 접근 : ‘삼학’(三學)의 ‘정신수양’과 ‘사요’(四要)의 활용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16 .02
이이 初傳門人들의 性理學(Ⅰ) -사단칠정, 인심도심에 관한 김장생, 정엽, 변이중의 계승을 중심으로-
유학연구
2015 .05
퇴계사상의 종교성에 관하여
퇴계학보
2017 .01
율곡 도덕 감정론의 지각 기제- 율곡의 ‘誠意’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7 .12
퇴계의 도덕 감정과 의지에 대한 고찰 - 四端七情과 人心道心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
2019 .01
退溪에 대한 설화적 기억과 性 담론 고찰
고전과 해석
2020 .01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 스피노자의 감정모방 이론』, 『퇴계의 도덕 감정에 대한 이론과 함의 고찰』, 『도덕감정의 지각과 그 정당화』에 대한 논평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06
李瀷과 愼後聃의 四七論에서 中節의 의미
철학연구
2017 .02
도덕 실천 역량에 관한 율곡의 이론체계 淺析 - 心-意를 중심으로 -
철학탐구
2021 .02
퇴계의 人心道心 理解
퇴계학논집
2021 .12
한주 이진상과 화서 이항로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영남학
2017 .01
율곡학에서 四端의 不中節 문제-호굉과 비교를 통해서-
태동고전연구
2019 .01
인심도심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해석
동양철학
2015 .01
사단(四端)에 대한 주리(主理)적 해석- 퇴계와 농암의 논의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8 .01
대만 학계의 한국유학 연구동향 및 평가
퇴계학보
2018 .01
도덕 감정에 관한 퇴계와 율곡의 사유- 상호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8 .01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온지논총
2016 .01
조선의 歐美全權公使 派遣에 대한 청 정부의 대응(1887~1890)
학림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