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17세기 『서의』의 부재不在와 재인용
3. 18세기 조선본 『서의』의 간행
4. 『서의』의 예학사적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마광(司馬光)의 『서의(書儀)』「관의(冠儀)」연구 - 『儀禮』?『朱子家禮』와 비교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5 .12
The Inheritance and Spread of Confucianism in East Asia: The Spread of Qiu Jun’s 丘濬 Jiali yijie 家禮儀節 in China and Korea
Korea Journal
2022 .03
律令制研究と木簡研究 ― 飛鳥浄御原令と「前白」木簡をめぐって―
동서인문
2023 .08
조선본 『가례(家禮)』의 특징과 의의
민족문화연구
2020 .01
순암 안정복의 『가례』연구와 그 방향
한국실학연구
2020 .01
조선시대 회곽묘의 도입 배경과 양상
한국사연구
2017 .03
17세기중반 樂善君 李潚의 생애와 혼례의 특징
동서인문학
2018 .08
다산 정약용의 조선적 관례(冠禮) 제도의 구상 - 「관례작의(冠禮酌儀)」를 중심으로 -
인문연구
2024 .12
하곡 정제두의 예제 인식에 나타난 문화다원론적 의의
양명학
2022 .06
기후변화와 질병 : 19~20세기 페스트 유행과 질병관의 변화
한국학논집
2016 .03
小訥 盧相稷의 禮學과 『常體便覽』
한국실학연구
2021 .01
다산의 방례기획과 『사례가식』의 위상
孔子學
2016 .05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제식(祭式)」을 통해 본 실용적 제례관
동양철학연구
2019 .01
제례음식의 규범과 토착화 - 불천위제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1 .07
성호 이익의 관혼례(冠婚禮) 의절(儀節) 연구
온지논총
2021 .01
매장과 『가례』 - 근세 일본 장례 문화의 유교와 불교
공존의 인간학
2019 .02
한민족과 만주족의『주자가례』 혼례 수용 양상 비교
한중인문학연구
2020 .01
조선초기 국가의례 정비와 『가례(家禮)』
태동고전연구
2021 .12
한국과 베트남의 유교 수용과 예교 시행 비교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