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회곽묘 도입의 역사적 배경
Ⅲ. 중국 명대의 회곽묘
Ⅳ. 조선시대 회곽묘의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Inheritance and Spread of Confucianism in East Asia: The Spread of Qiu Jun’s 丘濬 Jiali yijie 家禮儀節 in China and Korea
Korea Journal
2022 .03
조선시대 횡혈묘의 출현과 구조
울산사학
2016 .12
『國朝五禮儀』 賓禮에 편성된 對明儀禮의 특징과 朝鮮의 의도
한국사학보
2021 .08
조선시대 구리 갈매유적 회곽묘의 조성 및 강도분석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고고학
2021 .12
『國朝續五禮儀』 ‘國朝五禮儀考異’ 편의 편찬 목적과 내용
한국사학보
2022 .11
朱子語類의 ‘史’인식과 朝鮮의 수용
동양고전연구
2020 .01
조선시대 王陵 儀禮의 특징과 개정
역사와경계
2019 .12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퇴계 이황의 『주역』 공부-퇴계 이황의 주자학 이해의 심화과정에 대한 한 고찰
동양한문학연구
2018 .01
전북혁신도시 내 고려~조선시대 분묘의 특징
호남고고학보
2017 .01
대구 달성고분군의 편년과 성격
야외고고학
2020 .01
대구 구암동고분의 구조와 특징
야외고고학
2022 .03
주자와 간재의 明德說 그리고 역사문화 의식의 차이
건지인문학
2017 .01
17-18世纪朝日文人笔下的儒学论争
연민학지
2023 .02
조선시대 성리학의 연원인 주자학의 전개 양상 그리고 양명학에 대한 오해
동양철학연구
2019 .01
중국 明?淸代 고분벽화의 墓主圖
사림
2021 .10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에 사용된 회(灰)의 특성 연구 - 하남 감일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
백제학보
2019 .01
영산강유역 원형분의 출현 배경과 의미
야외고고학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