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申恪의 연안성 수축
Ⅲ. 한강방어 전개 과정
Ⅳ. 양주 해유령전투 전개 과정
Ⅴ. 申恪 참형 전말
Ⅵ. 申恪 참형 논평
Ⅶ. 《尙義堂遺事》의 申恪 참형 기록
Ⅷ.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진왜란 초기 임진강 일대 주요전투와 관군의 지휘체계 실태: 임진강·해유령 전투를 중심으로
군사연구
2023 .06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조선시대 대중국(對中國) 외교와 정문(呈文)의 활용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12
임진전쟁 시기 주요 전투의 의미와 성격: 대첩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3 .04
삼양주 빚는 마음
월간에세이
2024 .08
임진전쟁 초기 이광의 활동과 용인전투에 대한 재고
史叢(사총)
2016 .01
芝峯類說 소재 壬辰倭亂 기록에 대한 고찰 -筆記의 壬辰倭亂 기록물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여-
동방한문학
2023 .06
고고학으로 본 楊州-百濟, 高句麗, 新羅의 角逐-
선사와 고대
2024 .04
임진왜란기 전주 방어에서 안덕원전투(安德院戰鬪)의 의미
인문과학연구
2023 .06
양주지역 고구려 관방유적의 조사성과와 과제-태봉산 보루를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2024 .04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임진왜란 시기 의흥 의병장 송강 홍천뢰와 혼암 홍경승
동아인문학
2015 .06
임진전쟁기 경주 안강 전투와 강화교섭 국면의 변동
한국사학보
2016 .02
한국의 임진왜란 연구는 어디로 가야 할 것인가 - 이계황, 『임진왜란 동아시아 국제전쟁』(서울, 혜안, 2023)
역사학보
2023 .06
6.25전쟁 용문산 전투에 대한 전투사적 고찰
군사연구
2019 .01
해양으로 본 임진전쟁기 울산전투의 역사적 의미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3 .10
정유재란기 明軍의 戰勝 문물 고찰
동아인문학
2020 .03
兩淮鹽運使 盧見曾의 문화 활동 연구
中國散文硏究集刊
2020 .01
임진왜란기 봉화 지역의 의병활동과 일본군의 동향
군사연구
2017 .01
<<揚州畵舫錄>> 속의 人物類型 硏究
중국사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