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임진전쟁기 울산의 군사전략 위상과 초기 전황
Ⅲ. 울산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의미
Ⅳ. 해양관점으로 본 울산전투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
중국사연구
2022 .08
임진전쟁 시기 주요 전투의 의미와 성격: 대첩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3 .04
임진전쟁 초기 이광의 활동과 용인전투에 대한 재고
史叢(사총)
2016 .01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대일 전략(對日 戰略) -1593년 일본군의 한성 퇴각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21 .09
임진전쟁기 경주 안강 전투와 강화교섭 국면의 변동
한국사학보
2016 .02
임진왜란기 전주 방어에서 안덕원전투(安德院戰鬪)의 의미
인문과학연구
2023 .06
임진왜란 전반기 조명 군사 협력의 일단 -함경도 일본군 퇴각과 관련하여-
한일관계사연구
2019 .11
임진왜란 전반기 조선의 對명 전략
역사와실학
2018 .08
일본육군 참모본부의 ‘군사조사’ 활동과 식민주의 역사학
대구사학
2015 .01
일본에 남은 울산성 전투에 대한 기억의 전승
일어일문학
2020 .05
1598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전쟁국면 調整
史叢(사총)
2024 .09
임진왜란 초기 임진강 일대 주요전투와 관군의 지휘체계 실태: 임진강·해유령 전투를 중심으로
군사연구
2023 .06
임진왜란 초기 조명 군사 협력의 양상 - 벽제관 전투 전후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보
2019 .05
임진왜란기 봉화 지역의 의병활동과 일본군의 동향
군사연구
2017 .01
임진왜란기 안동 지역 지방관과 官軍의 전쟁 수행
민족문화연구
2021 .01
미래 육군의 전투개념 혁신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투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군사연구
2020 .01
임진전쟁기 조선조정의 對明 일본재침 경보와 양국 공조
역사학보
2022 .03
조선시대 조선과 명의 국경인식과 조명관계
역사문화연구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