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중국사연구 제103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19 - 140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양주화방록󰡕은 李斗의 작품으로 청대 중기에 발달된 양주 지역의 역사, 지리, 인물, 문물, 풍습 등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당시 양주의 사회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 있어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양주화방록󰡕은 당시 양주를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 그 지역과 연관된 산수원림, 문물, 사적, 사건, 인물, 풍습 등에 대해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주목할 만 한 점은 󰡔양주화방록󰡕에는 양주 지역의 문물과 사건에 관련된 약 2,400여명의 인물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에는 관리, 학자, 문인 등 상류층이 아닌 상인, 기녀, 광대, 협객, 승려, 걸인 등 일반 백성들의 일화와 사건들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당시 양주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8명의 서화가인 “양주팔괘”와 “虹橋修褉”로 대표되는 문인들의 시문회 활동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또한 기생, 거지, 승려, 예인, 장인, 장사꾼 등 일반 백성들의 생활과 행적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물을 통해 우리는 이 책의 주제의식을 엿볼 수 있다. 첫째, 이두는 양주화방록의 인물들을 통해서 당시 양주의 현실사회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둘째, 평범한 내용이 아닌 기이한 내용과 일화를 자세하게 기록하여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셋째, 충성과 절개, 효도와 의리 등 전통 도덕관념을 강조하는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청대 18~19세기 양주 지역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 삶이 어우러진 양주 지역학 연구의 대표적 저서로서 오늘날 그 학술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