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팩션으로 읽는 이항복의 일생-구활자본 「鰲城과 漢陰」을 통하여
어문연구
2016 .01
이항복 소화(笑話)의 양상과 특수성 - 웃음 기제와 효과를 중심으로 -
문학치료연구
2016 .04
‘고마쓰가와 사건’의 감옥 글쓰기와 재일조선인의 ‘이름’을 둘러싼 자기 기획 : 『죄와 죽음과 사랑(罪と死と愛と)』(1963), 『이진우 전서간집』(1979)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23 .06
이항복 이야기책 연구 : 구활자본을 대상으로
우리문학연구
2016 .07
이성복 시에 나타난 질병의 양상 - 『뒹구는 돌은 언제 잠깨는가』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0 .04
대로(大鹵) 신석상(申奭相)의 교유와 한시 연구 - 근기 남인 인맥과 석북가(石北家) 시풍(詩風)의 계승을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2024 .09
白沙 李恒福의 전쟁경험과 일본 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이성복 문학의 정치성 재구 - 이성복의 시론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2019 .01
조선시대 대중국(對中國) 외교와 정문(呈文)의 활용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12
이성복의 초기시에 나타난 예술과 구원의 문제 : 1980년대 출간된 시집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16 .12
안용복 일행에 대한 고찰 ― 1693년 납치사건을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0 .01
이항로의 심설과 서학(西學) - {벽사록변}ㆍ{아언}[양화]를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18 .01
이성복 시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의 양상
한국문학과 예술
2021 .03
금당 이재복의 선사상
대각사상
2024 .06
1980년대를 배경으로 이성복의 시를 읽는 방식과 의의 : 그의 연애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6 .08
一齋 李恒의 漢詩 硏究
동아인문학
2016 .12
芝峯類說 소재 壬辰倭亂 기록에 대한 고찰 -筆記의 壬辰倭亂 기록물로서의 특성에 주목하여-
동방한문학
2023 .06
이성복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정치성 연구― ‘유곽’과 ‘돌’ 이미지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1 .08
에드 복 리의 미토콘드리아 상상력 - 새로운 생태시와 시의 공적 가치
문학과환경
2021 .03
윤복진의 필명 연구
동화와 번역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