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황수정 (朝鮮大學校)
저널정보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東亞人文學 第37輯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97 - 123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일재 이항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16세기 하서 김인후와 고봉 기대승과 함께 호남 儒學을 대표하였다. 호남을 대표하는 五學 중 한 사람으로 理氣一元論을 주장했다. 그동안 유학자이고 도학자인 일재의 생애와 사상에 초점이 맞춰진 관계로 그의 한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재의 한시가 갖춘 미감을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문학작품에는 작가의 정신세계와 사상이 그 기저를 단단히 한다. 일재의 실천유학적인 사상이 그의 문학 곳곳에 진솔하게 배어 있어서 그 정신과 미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의 시는 내용적으로는 설리적이고 도학적인 것을 담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증시류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증시로써 교유를 통해 감성과 도의 깨침을 담고자 하였다. 시에 도학적인 교훈성만을 실은 것이 아니라 진솔하고 참신한 감성을 담아냈다.
淸新하고 妙悟한 기운을 담아서 개인적인 정감을 노래했고, 동시대 인물과의 교유에서 얻을 수 있는 소통의 창구로써 도의 즐김(樂道)을 드러냈다. 그 속에 절제된 표현의 멋을 담았다. 또한 제자들에게 보내는 시를 통해 勸勉과 自得의 妙를 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시에는 ‘淸溪’, ‘晴窓’등 시어를 사용하여 시의 맑은 풍격을 격상시켰다. 또한 시의 리듬감을 살리는 음영성 등을 배가시켜 시 낭송의 멋을 살려내고 있다. 운문의 형식인 절제와 함축, 그리고 축약의 멋을 잘 그려냈다. 시 전반에 전고를 많이 사용하면서 간결한 필치와 상징성을 띠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내용은 도학적인 내용이지만, 시를 싣는 표현에 있어서 운문의 형식을 잘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道學者인 일재의 한시가 갖춘 문학성과 그 미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일재 한시문학의 미감
Ⅲ.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