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현행 군 사법제도 - 개관(槪觀)과 비판
Ⅱ. 독일의 과거 군 사법제도
Ⅲ. 군형법의 적용 및 군인에 대한 형사재판
Ⅳ. 군무법원에 의한 군인 징계, 군인 이의제기의 처리
Ⅴ. 맺으며 - 독일 군 사법제도의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요약
Zusammenfassung
헌법재판소 1996. 10. 31. 선고 93헌바25 전원재판부〔합헌〕
1.구 군사법원법 제6조가 군사법원을 군부대 등에 설치하도록 하고, 같은 법 제7조가 군사법원에 군 지휘관을 관할관으로 두도록 하고, 같은 법 제23조, 제24조, 제25조가 국방부장관, 각군 참모총장 및 관할관이 군판사 및 심판관의 임명권과 재판관의 지정권을 갖고 심판관은 일반장교 중에서 임명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은 헌법 제110조 제1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도4555 판결
군형법상 상관모욕죄는 상관에 대한 사회적 평가, 즉 외부적 명예 외에 군 조직의 질서 및 통수체계 유지 역시 보호법익으로 하는 점, 상관모욕죄의 입법 취지, 군형법 제2조 제1호, 제64조 제2항 및 헌법 제74조, 국군조직법 제6조, 제8조, 제9조, 제10조, 군인사법 제47조의2, 군인복무규율 제2조 제4호의 체계적 구조 등을 종합하면, 상관모욕죄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9. 24. 선고 2015도11286 판결
[1] 군형법 제48조, 제52조의2에서 규정한 상관에 대한 폭행·협박·상해의 죄와 제64조 제1항에서 규정한 상관모욕죄는 모두 상관의 신체, 명예 등의 개인적 법익뿐만 아니라 군 조직의 위계질서 및 통수체계 유지도 보호법익으로 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들 죄에서의 상관에는 명령복종 관계가 없는 경우의 상위 계급자와 상위 서열자도 포함되고,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8. 2. 23. 선고 87도2358 판결
가. 양손을 뒤로 결박당하고 양발목마저 결박당한 피해자의 양쪽 팔, 다리, 머리 등을 밀어누름으로써 피해자의 얼굴을 욕조의 물속으로 강제로 찍어누르는 가혹행위를 반복할 때에 욕조의 구조나 신체구조상 피해자의 목 부분이 욕조의 턱에 눌릴 수 있고 더구나 물속으로 들어가지 않으려고 반사적으로 반항하는 피해자의 행동을 제압하기 위하여 강하게 피해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4. 23. 선고 99도636 판결
[1]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8조 제3항은 선거범과 다른 죄의 경합범에 대하여는 형법 제38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이를 분리 심리하여 따로 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그 취지는 선거범이 아닌 다른 죄가 선거범의 양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지 형법 제38조의 적용을 배제하고 분리 심리하여 형을 따로 선고하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군사법원제도 정비에 관한 헌법적 검토
미국헌법연구
2018 .12
군사법원의 신분재판권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개정 군사법원법 제2조 제2항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23 .06
군사법원의 독립성과 관할 문제에 관한 연구
비교법연구
2021 .12
군 사법제도 개혁과 헌법적 의미에 대한 소고
연세법학
2021 .12
군 사법제도 개선방안
법학연구
2021 .10
군사법원법 개정에 따른 신분적 재판권 축소에 관한 고찰
치안정책연구
2023 .06
개정 군사법원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이론실무연구
2023 .05
일반 국민에 대하여 군사법원에 재판권이 있는 군형법상 범죄와 일반 범죄가 경합범 관계에 있는 경우 재판권의 소재
사법
2016 .01
사법농단 의혹사건에 대응하는 국회와 법원의 법원개혁방안 검토 - 국민의 신뢰 제고를 위한 법원개혁의 방향성 전망을 위하여 -
법학논총
2020 .06
군사법원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고찰
저스티스
2015 .04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의 헌법적 지위에 대한 고찰
법과정책
2017 .01
사법정의의 실현방안 - 사법제도의 개선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2019 .01
사법권의 이론과 제도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군사법제도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017 .01
군사법원의 민간인에 대한 재판권
한국군사학논집
2016 .02
군사법원의 관할관의 확인조치권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2016 .01
[토론 2] 외교에 관한 국내법원의 사법적 통제
법치와 자유
2024 .06
법원을 통한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 : 독일 사회법원 실무수습과 독일 연방사회법원 방문강연 경험기
사회보장법연구
2015 .06
미국 군사재판의 형사절차에 관한 주요 특징과 시사점
원광법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