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 머리말
II . 제5사단 병참부의 편성과 병참선로 선정
III . 부산 병참주지 설치와 제5사단의 북상
IV . 초기 경부 병참선의 운영 실태
V .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대 동서양의 군 주둔지와 제철 지역의 병참선 연구
군사연구
2018 .01
중일전쟁 이후 조선군의 ‘평양사단’ 증설과 그 의미
숭실사학
2020 .01
청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청일전쟁과 역병 : 일본 근대사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과학 기술과 근대전쟁 : 청일전쟁 시기 일본군의 철도와 전신 이용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현행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근대 한일 관계 인식 -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021 .10
일제강점 말기 "조선 주둔 일본군" 상주사단의 韓人 병력동원 양상과 특징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08
Changes in Foreigners’ Settlement Space in Seoul, Korea, 1882 to 1910: Focusing on Chinese and Japanese Demographic Changes and Commercial Activities
Korea Journal
2019 .12
미국 신문에 나타난 청일전쟁과 조선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청일전쟁은 국제법상 ‘적법’했을까?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의 경성안내서 출판과 ‘경성’ 이미지
이화사학연구
2021 .12
1894년 전라도 군용전신선 가설 계획과 일본 해군의 동학농민군 진압
한국사학보
2019 .08
아시아태평양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항도부산
2022 .08
해방 직후 일본군의 귀환 수송과 부산항
역사와실학
2021 .04
일제강점기 김천의 일본인사회와 식민도시화
사림
2016 .01
러일전쟁 이후 일본육군의 팽창과 徵兵 管區 변화
학림
2019 .01
‘종주권’ 문제와 청일전쟁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일본연구] 100호와 일본고전문학 연구
일본연구
2024 .06
韓国大学生が関心を持つ日本の「文化」
日本語敎育
2019 .01
일제강점기 부산발행 일본어신문에 대하여- 『조선시보』를 중심으로 -
항도부산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