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가련하고 불쌍한 나라, 조선
2. 데니가 본 조선: 청에 조공을 바치지만 엄연한 주권국가
3. 카펜터가 본 조선: 아름다운 기회의 땅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청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청일전쟁은 국제법상 ‘적법’했을까?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청일전쟁과 역병 : 일본 근대사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종주권’ 문제와 청일전쟁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과학 기술과 근대전쟁 : 청일전쟁 시기 일본군의 철도와 전신 이용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청일전쟁 130년, 중국의 역사기억과 기념공간의 변화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청일전쟁과 조선인의 휴머니즘 : 공존을 위한 힘없는 자들의 포용과 상생 모색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현행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근대 한일 관계 인식 -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021 .10
근대 동아시아 정보전쟁과 암호 해독 :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반도 전쟁: 19세기 청일전쟁과 21세기 미중경쟁
담론201
2020 .01
청일전쟁기 조선 진하사 - 최초의 성수절 경하와 최후의 대청사행
동북아역사논총
2024 .12
갑오년의 전쟁과 공동의 역사
동북아역사포커스
2024 .09
메이지(明治)시대 한국에서 발행된 일본어 신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조선신보(朝鮮新報)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8 .05
문학과 경제로 풀어낸 청일 · 러일전쟁 : <청일·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동아시아 50년전쟁 다시 보기> (하라 아키라 지음, 김연옥 옮김, 살림, 2015)
역사비평
2016 .02
구니키다 돗포의 작품과 내셔널리즘
일어일문학연구
2024 .02
전쟁을 유희화하는 아동의 연설과 소국민화
외국학연구
2018 .01
청일전쟁기 일본 재류 청국인 처우와 인식
人文科學硏究
2021 .08
위기에서의 선택 — 한국전쟁에 대한 중국의 정책 결정 논평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3
韓國漢字音에 나타나는 i母音添加現象에 대하여 : 日本漢字音 · 越南漢字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5 .11
일본 역사교육 속의 청일전쟁과 조선 : 중학교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