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변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계승 (대구보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기본과제보고서 [정책연구 2021-16]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장애인 고용 전망과 과제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 - 149 (14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the post-COVID-19 era and to suggest policy tasks. Factors affecting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post-corona era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the disabled is changing.
Second, platform labor is also having an impact on the labor market for the disabled. Thi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nging the structure of jobs.
The measures to deal with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arget of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and service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for employment of the disabled. Third, governance for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표지]
[머리말]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Abstract]
[연구요약]
1. 코로나19 이후 사회와 장애인 고용
2.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 변화
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장애인 고용의 위기와 기회
4. 제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연구배경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코로나19 이후 사회와 장애인 고용]
제1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 변화
제2절 코로나19와 장애인 고용의 대응
[제3장 장애인 임금근로자 고용 변화]
제1절 장애인 임금근로자 고용 변화 추이
제2절 코로나 19로 인한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 변화
제3절 코로나 19 상황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제4절 소결
[제4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장애인 고용정책]
제1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장애인 고용 위기와 기회
제2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장애인 고용정책 역할과 과제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336-000109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