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심진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곽정란 (리츠메이칸대학교) 남용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윤경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저널정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기본과제보고서 [정책연구 2015-12] 교육청의 장애인 고용률 제고 방안
발행연도
2015.12
수록면
1 - 198 (19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ways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nd prepared the ways for expand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focused on the teacher sector which takes a larger part in the employment by the Office of Education. For this, first, the policies, institutions and recent status relating to the training and employment of the disabled teachers were analyzed. Second, an in-depth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ties relating to the disabled teachers to analyze the reasons why the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teachers is low. Third, the cases that foreign countries expanded the employment of disabled teachers through the mandatory employment quota system were investigated. For this, policy examples and implications were outlined mainly for Germany, France, and Japan.
From the study results, measures were provided for the expansion of the disabled teachers at each step; it was shown to be necessary to expand the selection of the disabled students of teacher training colleges and to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s of the disabled students at the training stage. At recruitment and selection stage, the ways for recruiting the disabled should be improved a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ecruitment rate of the disabled in the separated recruitment system flexibly. Supports are needed for peoples with disabilities to have the opportunity to be employed in the short-term teacher positions. Lastly, at the placement and employment stage, the working conditions for the disabled teachers should be improved and the system supporting the disabled teacher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raining for improving awareness about disability should be conducted mandatorily on teacher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목차

[표지]
[머리말]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Abstract]
[연구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 방법과 대상
[제2장 장애인 교원의 의무고용 현황]
제1절 정부부문의 장애인공무원 의무고용 현황
제2절 시 · 도교육청의 장애인 교원 의무고용 현황
[제3장 장애인 교원 양성 및 임용 관련 제도와 현황]
제1절 장애인 교원 양성 관련 제도와 현황
제2절 장애인 교원 선발 및 임용 관련 제도와 현황
제3절 장애인 배치 및 재직 관련 제도 및 현황
[제4장 장애인 교원 진입 확대를 위한 조사]
제1절 심층면접 조사 결과
제2절 해외 사례 조사
[제5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논의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36-0008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