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변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박종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저널정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기본과제보고서 [정책연구 2019-16] 통합적 장애인 고용정책을 위한 장애범주 검토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1 - 122 (1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incorporate people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job activities into the category of disability because they are excluded from the registered disabled and do not receive adequate support.
Results is following. first,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in the medical model were revealed. So it i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new concept of disability in the employment and re-establish of the category. Second, analyzing overseas cases, the new policy target for employment for the disabled needs to base on a model for functional limit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their needs. Finally, we estimated the size of the disabled group in Korea that can be covered by the new potential employment service for the disabled. The total number of them is 382,499 , including those who are a special education, recipient of Veteran, rare incurable diseases, industrial disaster victim, disability with temporary and mental problem. In the long run, the public employment services for the disabled need to be strengthened as a valid policy instrument for anyone suffering from a disability in the labor market.

목차

[표지]
[머리말]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Abstract]
[연구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방법
[제2장 이론적 논의]
제1절 장애의 개념과 유형
제2절 통합적 장애인 고용 정책의 중요성
제3절 통합적 장애인 고용과 범주에 관한 논의
[제3장 고용영역에서 장애인 범주 확대의 필요성]
제1절 장애범주와 고용정책의 한계점
제2절 국제적 기준에서 장애인 범주 분류체계
[제4장 장애범주 확대 대상 검토]
제1절 특수교육대상자 및 장애인 등록 현황
제2절 산재근로자 현황 및 등록 장애인
제3절 보훈대상자 및 등록 장애인 현황
제4절 일시적 장애인의 수
제5절 희귀난치성 질환자 현황
제6절 정신건강관련 장애인
[제5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6-000573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