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 리발(理發) 설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유학연구
2016 .02
사단칠정논쟁에 대한 재고찰
동방학
2015 .01
사단부중절(四端不中節) 논변으로 본 퇴계(退溪) 리발설(理發說)의 의미
한국철학논집
2016 .11
퇴계 이황의 리(理)에 대한 해석의 갈래 -“리동(理動)·리발(理發)·리도(理到)” 이해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017 .01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온지논총
2016 .01
빈(貧)과 낙(樂)에 대한 성찰 - 고봉과 퇴계의 경우를 중심으로
유학연구
2016 .02
한주 이진상과 화서 이항로 사단칠정론의 대비적 고찰
영남학
2017 .01
퇴계 이황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 해석 변천 과정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12
퇴계와 율곡의 명대 유학 인식
국학연구
2019 .03
주자학의 관점에서 본 퇴계의 미발론(未發論)
대동철학
2017 .03
退溪에 대한 설화적 기억과 性 담론 고찰
고전과 해석
2020 .01
삼원 사고와 퇴계의 사단칠정론
퇴계학논집
2017 .01
주희 윤리설의 기본원리에 관한 연구
양명학
2019 .09
퇴계 인성론의 토대로서 리발(理發)에 관한 일고찰
퇴계학논집
2017 .01
근대 일본의 ‘동아의 주자학’과 이퇴계
퇴계학논집
2020 .01
도덕 감정에 관한 퇴계와 율곡의 사유- 상호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8 .01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퇴계의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민족문화연구
2017 .01
四七論의 해체와 善의 일원화
동양철학연구
2018 .01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에서 리활물(理活物)의의미
퇴계학논집
2016 .12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과 의학적 함의 - 퇴계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