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송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백은주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5 정책연구-18] 서울시 맞춤보육지원내실화 방안 연구
발행연도
2015.11
수록면
1 - 186 (18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research focuses on childcare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such as service hour extensions, 24-hour service operations, and childcare services for holidays as a means to support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family for working mothers and to develop plans to improve its service quality.
In many year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respond to increases in dual-income families and diversified employment types, and among those efforts are service programs such as the service hour extension, 24-hour service operations, and childcare service for holidays. While more and more parents tend to prefer a wider applic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s, it fails to fully meet these needs yet. In this situation, women’s career breaks (M-curve) and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continue to be shared among working m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stomized childcare services are privileged mostly by dual-income families and single parent households, and help them manage work life and childcare to a great extent. However, some operational issues need to be addressed, for example, that larger amount of personnel expenses should be supported to hire more childcare teachers and safety control for infants and also for teachers be reinforced. There is also a need to ensure end user-oriented service quality. In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FGIs, and case studies, it suggests to improve customized childcare support services as running a hub center for childcare that provides customized services, restructuring the current system fit into real-user centered service, and updating operation guidelines for service hour extension, around-the-clock services, and childcare for holidays.

목차

[표지]
[발간사]
[Contents]
표 목차
그림 목차
[연구요약]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
연구 내용
주요 분석 결과
정책 방향 및 세부 과제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Ⅱ. 맞춤보육의 필요성과 현황]
1. 맞춤보육 운영 및 정책 현황
2. 맞춤보육의 필요성: 영유아 부모들의 근로 및 양육 실태를 중심으로
3. 맞춤보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Ⅲ. 서울시 맞춤보육 이용 실태 및 개선방안: 학부모 조사 결과]
1. 시간연장ㆍ24시간ㆍ휴일보육 서비스 이용가구 특성
2. 시간연장ㆍ24시간ㆍ휴일보육 서비스 이용 현황
3. 서비스 개선방안
[Ⅳ. 서울시 맞춤보육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어린이집 조사 결과]
1. 시간연장ㆍ24시간ㆍ휴일보육 서비스 운영 현황
2. 시간연장ㆍ24시간ㆍ휴일보육 담당교사 현황
3. 서비스 운영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Ⅴ. 서울시 맞춤보육 내실화 방안]
1. 연구결과 요약 및 정책 시사점
2. 서울시 맞춤보육지원 내실화를 위한 정책 과제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37-001636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