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송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이혜수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임밝네 (파리7대학)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8 정책연구-21]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양육 실태와 틈새돌봄 지원 방안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1 - 165 (16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expansion of childcare policies has led more and more childcare support program for dual earner families to lessen their burdens of parenting. Yet, the dual earner households seem to enjoy the benefits not as much as it was planned. So, this study closely looked into hardships dual earner families encounter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childcare policies in seeking for a desired, much-covered parenting support policy for additional needs for these dual earner families.
First, it analyzed press release and prior researches about current situations of parenting by dual earner families. The analysis is summarized as ‘discrepancies between hours needed for baby-sitting as a mother and a father work overtime and service hours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having experienced childcare gaps in certain areas due to lack of fully covered childcare support programs and system, and to fill the gaps, the unavoidable use of additional individual childcare support and resources including grandparents and hiring babysitters.’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expansion of the individual childcare support and resource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is could cause Gender division of childcare to deepen and stratification of childcare types based on differences in income.
Curr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ome autonomous districts implement childcare support policies to fill the childcare gaps driven by these additional needs. However, the current programs are limited to providing babysitting services not considering varied situations faced by dual earner households including self-employed or those having part-time jobs.
In that sens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eoul government needs to prepare fully-covered support programs for the dual earner families preconditioned with an effort to reduce their labor hours so that they could have more time for their children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reinforced all-day long childcare service. It also need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for extended childcare service hours to make up for childcare gaps that the dual income families now suffer from, expanded child-carer services especially for workers in the specialized industries, as well as diversified childcare infrastructure for local communities.

목차

[표지]
[발간사]
[목차]
표 목차
그림 목차
[연구요약]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내용 및 방법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양육 실태와 틈새돌봄 지원 필요성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틈새돌봄 지원 정책 현황과 쟁점
세계 주요 도시 보육정책 및 틈새돌봄 지원 정책
서울시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틈새돌봄 지원 방안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연구의 범위와 한계
[Ⅱ.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양육 실태와 틈새돌봄 지원 필요성]
1.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양육 실태
2.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양육 실태의 문제점
3. 소결: 맞벌이 가구를 위한 틈새돌봄 지원 정책의 필요성
[Ⅲ.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틈새돌봄 지원 정책 현황과 쟁점]
1. 중앙정부와 서울시 돌봄정책의 주요 내용과 변화
2. 영유아 대상 틈새돌봄지원 정책 현황
3. 틈새돌봄 지원 정책 평가와 개선방안
[Ⅳ. 세계 주요 도시 육아지원정책 및 틈새돌봄 지원 정책]
1. 분석국가·도시: 스웨덴, 독일, 프랑스
2. 스웨덴 나카(Nacka) 보육정책 특징 및 시사점
3. 독일 보훔 보육정책 특징 및 시사점
4. 프랑스 이씨레물리노 보육정책 특징 및 시사점
[Ⅴ. 서울시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틈새돌봄 지원 방안]
1. 결과 요약 및 정책 시사점 :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육아지원정책 방향 제언
2. 맞벌이 가구 틈새돌봄 지원 정책 기본 방향
3. 서울시 맞벌이 가구 영유아 자녀 틈새돌봄 지원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