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조막래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김송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김운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윤정민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9 정책연구-21] 서울시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운영성과 및 발전방안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1 - 242 (24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Seoul Childcare Service Support Center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the future.
To that end, the director of a public childcare center and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support center, and five directors and six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depth.
Director"s findings, First, overall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 In particular,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environment was high. Second, satisfaction with hiring a workforce pool was found to be low. They perceived a lack of teachers of the desired competence. Third, the director recognized that child care teachers had strengthened their professionalism after education of Childcare Service Support Center.
Teacher"s findings, First, child care teachers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workforce pool education. In particular,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professors and education method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cruitment support for the workforce pool was low. The high cost of labor made it impossible to hire. Third, confidence and self-efficiency increased after education of Childcare Service Support Cent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operation of child care service support centers in order to reinforce the public power support system in Seoul. In particular, we proposed a detailed implementation strategy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basis for supporting the capacity building of childcare-staff, diversify support for capacity building, and further enhance recruitment support.

목차

[표지]
[발간사]
[목차]
표 목차
그림 목차
[연구요약]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내용
연구방법
보육서비스 지원센터 역량강화지원 실태 원장조사 결과
보육서비스 지원센터 역량강화지원 실태 보육교사 조사 결과
서울시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운영개선 방향 및 세부 추진과제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연구 추진 체계
5. 연구의 구성
[Ⅱ.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운영성과 및 선행연구 검토]
1. 보육교사 전문성 지원의 한계와 서울시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설립
2.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 운영성과 및 쟁점
3. 선행연구 검토 및 시사점
[Ⅲ.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원장대상 역량강화 지원 실태 조사결과]
1. 조사 참여자 특성
2.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원장대상 역량강화지원 실태 조사 결과
3. 요약 및 시사점
[Ⅳ. 보육서비스지원센터 보육교사 역량강화 지원 실태 조사 결과]
1. 조사 참여자 특성
2. 보육서비스지원센터 보육교사 역량강화 지원실태 조사결과
3. 요약 및 시사점
[Ⅴ. 서울시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운영 발전방안]
1. 서울시 공적인력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보육서비스지원센터 운영개선 방향
2. 세부 추진 전략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7-00068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