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송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김한나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7 정책연구-07]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 분석 및 미래 진략 방안 마련
발행연도
2017.8
수록면
1 - 267 (26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s to review achievement and effort made over the last five years in expanding public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to seek for a plan to prepare policy for further expansion.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arent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operators to study its impact on the teachers and parents who use the service and to make its policy achievement visible to and felt by citizens. Given that there exist some concerns possibly resulted by multilateral approaches for its expansion effort such as encouraging participation of religious corporation and more and more individual as consignee for management, the study evaluates current state of public childcare centers based on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expansion and management outsourc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care centers has a positive impact as enhancing publicness of childcare service and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while they have been transformed to be a better place to work for teachers, so, to take full and further benefit, it should make consistent effort to build more and more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to enhance service quality. It also turns out that there is discrepancy found in some cases between parents’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and teachers’ evaluation on working environment depending on how it has been expanded and to whom its operations are outsourced. Now, it requires customized government support policy considering the expansion type of the public childcare centers and needs its structural improvement in their commissioned oper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policy should entail consistent expansion effort of the public childcare centers, and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s well as of the structure for their outsourced operations.

목차

[표지]
[발간사]
[Contents]
표목차
그림목차
[연구요약]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용어 정리
[II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 분석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보육정책과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목표 관련 논의 고찰
2.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 분석 연구 고찰
3.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 지표 및 분석틀 : 부모와 보육교사 대상 조사 지표를 중심으로
[Ⅲ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현황과 쟁점]
1.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현황
2.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개원 특성과 쟁점: 위탁체를 중심으로
[Ⅳ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성과 분석]
1. 부모 조사 결과
2. 보육교사 조사
3. 부모·보육교사 조사 종합 분석
[V 서울시 공보육 확충을 위한 미래 전략 방안]
1. 결과 요약과 정책 시사점: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성과와 과제
2. 정책 추진도
3. 정책방향 (1): 국공립어린이집 지속 확충
4. 정책방향 (2): 국공립어린이집 서비스 질 개선
5. 정책방향 (3):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개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부표: 2017년도 서울시 자치구별 필요경비 수납한도액 현황 외
부모 설문지
보육교사 설문지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37-00189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