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송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백선희 (서울신학대학교) 백은주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5 정책연구-08] 서울시 보육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발행연도
2015.9
수록면
1 - 387 (38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conditions and needs of childcare service in Seoul for the next five years and to prepare a direction and policy agenda for its middle - and long - term childcare development plan.
Important changes have been witnessed over the last five years in Korea, the transition of paradigm in childcare policy. Those benefited from the programs have been expanded to all infants and more and more day care centers as well as infants and children in family caring enjoyed the government support. Als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playing a leading role in conducting policies such as expanding public/national childcare centers to a large extent, introducing ‘childcare leaders in my neighborhood’ program, establishing childcare service support centers, etc.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se childcare programs are effective, and confusing amid drastic changes in childcare environment and every-changing, inconstant childcare policies.
In this regard, the study starts with evaluation on the existing childcare policies of the central and Seoul municipal governments, and, based on the evaluation, seeks for development plan of childcare polices in Seoul. To produce a direction and key agenda for the middle and long-term childcare plan in Seoul, firstly, it studies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childcare policies both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ul. Second, it analyzes Seoul’s childcare service conditions and environment and predicts its changes for the next five years. Third, it reevaluates the childcare - and family - related surveys of the recent three years conducted by the Seoul Foundation of Women and Family, and studies needs of childcare service for Seoul citizens through FGI, civil society policy forum, and seminars.
The analys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ally reinforce public responsibility in childcare, prepare a variety of and enriched childcare support customized to each family, improve service quality of childcare and working conditions for childcare employees, and empower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se needs, it creates a policy vision, ‘Seoul childcare, shared by all for everyone’s happiness’. This vision is to strengthen shared responsibilities in childcare and communication among families (parents), local communities, and childcare centers, and to build a childcare environment where every stakeholders including children, parents, and childcare workers are happy. To achieve this, it sets five policy goals: ‘establishing a foothold for public childcare based on social needs’, ‘building a diverse and enriched childcare support system’, ‘realizing childcare service ensuring that children are happy and parents feel safe’, ‘empowering childcare workers and improv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creating childcare-friendly local culture and cooperation system’.

목차

[표지]
[발간사]
[Contents]
표 목차
그림 목차
[연구요약]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내용 및 방법
정책현황ㆍ보육환경ㆍ시민욕구 분석 결과
서울시 중장기 보육계획의 기본체계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 추진과정
4. 서울시 보육계획 수립을 위한 전제
[Ⅱ. 중앙정부와 서울시 보육계획과 보육정책 검토]
1. 중앙정부 보육계획 검토
2. 서울시 보육계획 검토
3. 중앙정부와 서울시 보육정책 검토
4. 소결: 서울시 보육계획 수립에 주는 시사점
[Ⅲ. 서울시 보육여건 진단과 전망]
1. 서울시 인구ㆍ 가족 구조의 변화
2. 서울시 보육 현황
3. 자치구 인구ㆍ가족 구조 및 보육 현황
4. 서울시 및 자치구 보육예산
5. 소결: 보육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점
[Ⅳ. 서울시민이 바라는 보육정책]
1. 서울시민의 보육 욕구 진단 과정
2. 서울시민이 바라는 보육정책(1): 다양한 양질의 보육인프라 확충
3. 서울시민이 바라는 보육정책(2): 보육교사 역량 강화 및 처우 개선
4. 서울시민이 바라는 보육정책(3): 부모와 지역사회 돌봄역량 강화
[Ⅴ. 서울시 중장기 보육계획의 기본 체계]
1. 서울시 중장기 보육계획의 기본 방향
2. 정책 비전과 정책 목표
3. 정책과제와 세부 추진과제
[Ⅵ. 서울시 중장기 보육계획 세부추진과제]
1. 정책목표(1): 사회적 수요를 고려한 공보육 기반 조성
2. 정책목표(2): 다양하고 촘촘한 돌봄지원 체계 구축
3. 정책목표(3): 아이행복ㆍ부모안심 보육 실현
4. 정책목표(4): 보육교직원 역량강화 및 근로환경 개선
5. 정책목표(5): 돌봄친화적 지역문화 및 협력체계 조성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37-001636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