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준형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번역학회 번역학연구 번역학연구 제16권 제2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293 - 316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What is the corpus ? A corpus is the textual sample of linguistic data produced by a language community. In the same way, we can define the translation corpus as a collection of translations data. The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and the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insist on a corpus-driven research into translations for the universalization of translation principles, because a translation corpus contains the samples of translations produced by professional or non professional translators.
But the corpus is considered as a computational tool in the field of Machine Translation, and so the corpus-based research usually accept quantitative analysis. Strictly speaking, the translation is human language activity and the place where two different language-culture meet. Therefore it is a phenomenon of human sciences. And then the main goal of a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is to explain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ranslation depending on a parallel corpus. Consequently the translation corpus must be considered as a textual data that allows to systematize explicitly translation phenomena and its theory (qualitative analysis), not merely a formal data (quantitative analysis).

목차

1. 서론
2. 코퍼스 기반 번역 연구
3. 정성과 정량의 경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800-001637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