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준형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통번역학연구 통번역학연구 제21권 제1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213 - 237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One of the reasons to use a translation corpus is to permit the direct investigation of practical translation resources produced by human translators. Corpus-based studies have become a new method of investigation in moder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ranslation studies. As empirical research, they extract precise data from a corpus and for the efficient study of these data. But most corpus mainly is composed by two texts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text) and thus they are restricted to create translation correspondences one by one. Using a corpus for translation studies is to observe the various translation correspondences and to find out the universals of translation. In this way, a pair of one original text and one translation text is inadequate to fully explai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phenomena. Therefore, the multiple translation texts are needed to completely describe the universal features of human translation.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