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사회진화론과 열등한 타자로서의 ‘신여성’
3. 소비의 주체와 악마화된 신여성
4. 국가 재건의 주체인 어머니와 누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 해방의 문제 -현대부인(1928), 여성지우(1929), 여인(1932)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21 .01
한국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형성 ?근대 초기∼식민지기?
개념과 소통
2020 .01
조선후기 여성생활사 자료의 수집 및 재구축 방안모색- 한문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7 .01
정지용의 산문에 나타난 여성인식
우리어문연구
2024 .01
1930년대 중국소비에트구의 여성운동
사림
2017 .01
신여성과 패션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의 미학론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8 .08
Gender, Nation, and Nationalism: Late Qing China’s Discourse on Women
외국학연구
2021 .01
김혜순 시에 나타난 ‘몸’의 의미— ‘여성성’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01
1950년대 ‘직업여성’ 담론을 통해 본 여성들의 일과 결혼 : 정비석의 『여성전선』, 『세기의 종』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9
여성 없는 여성 시학에 반(反)하여 : 『여성 시학, 1980~1990』을 읽고
여성문학연구
2021 .12
1980년대 여성시의 미학적 정치성에 관한 연구 - 환유의 양상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2021 .09
식민지시기 조선 여성들의 스포츠 수용 - 1920-30년대 여성 잡지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1 .01
사설시조와 여성: 그 흔적들과 시선의 지층들
한국시가문화연구
2020 .01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9 .12
근대 계몽기 신문 소재 논설의 여성문제와 여자교육 담론의 분포와 의미
인문과학연구
2021 .09
해방 이전 한국 개신교 여성에 관한 연구 : 현황과 과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7 .09
1930년대 ‘집 나간 여성’의 계급 횡단과 여성 해방의 (불)가능성 -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고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