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7세기 청풍 김문의 외척형성과 金佐明의 역할
사림
2020 .01
정조 초반 『明義錄』과 王權의 위상 - 만들어진 이미지와 실상의 경계
대동문화연구
2016 .01
조선의 정치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 탕평론ㆍ탕평책ㆍ탕평정치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6 .02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및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대화 : 반론: 「조선 후기 정치의 맥락에서 탕평군주 정조 읽기」에 답한다
역사비평
2016 .08
북한 최고통치자의 상징, ‘태양’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이미지의 상징화’ 개념 적용 및 종교적의미부여 평가를 중점으로
종교연구
2017 .04
정조의 배향공신 則止軒 兪彦鎬의 정치활동
한국사학보
2019 .08
Political Consumerism as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Influence of Anti-Business Sentiments, Political Ideology, and Social Media
Korea Observer
2021 .12
총론 :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
역사비평
2016 .05
김수영과 한국전쟁 - “민간 억류인”이 달나라에서 살아남기
한국시학연구
2021 .08
Thai Political Families: The Impact of Political Inheritance
TRaNS(Trans –Regional and –National Studies of Southeast Asia)
2015 .01
Идеологическая база политического дискурса
러시아학
2018 .01
영조 초 붕당론의 변용과 탕평책의 수립
국학연구
2016 .12
정조 6년(1782) 윤음의 반포와 그 성격 - 송덕상(宋德相) 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2019 .06
김춘수의 대담 : 내면고백과 합리화의 유혹을 넘어서
어문학
2017 .12
1967년 노동당 제4기 15차 전원회의 김정일 연설 : 김정일 후계체제의 서막
역사비평
2015 .08
김종삼 시의 언술 구조와 치유성에 관한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8 .04
포스트-트루스 시대, 김수영의 「반시론(反詩論)」의 의의
문학과 종교
2018 .01
번암 채제공의 상소문과 정치적 글쓰기
동서인문학
2023 .02
율곡 『聖學輯要』의 성왕론 - 『大學衍義』, 『聖學十圖』와 비교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9 .01
북한 김정은 정권의 엘리트 특성 :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족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