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Ⅰ. 머리말
Ⅱ. ‘태양’, 지도자이미지의 생성시기 고찰
Ⅲ. ‘태양’, 지도자상징성 확보시기 고찰
Ⅳ. ‘태양’상징의 지도자 성격차이 비교분석
Ⅴ. 결론 및 함의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67년 노동당 제4기 15차 전원회의 김정일 연설 : 김정일 후계체제의 서막
역사비평
2015 .08
북한의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전략 및 특성 비교 연구 : 지도자 우상화의 ‘신화적 사고’ 접근 유 · 무 비교분석을 중점으로
통일인문학
2016 .12
김종삼 시의 언술 구조와 치유성에 관한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8 .04
김정은 시대 김일성 · 김정일 동상의 도상학적 접근
통일인문학
2018 .12
북한의 갑산파 숙청과 ‘혁명전통’의 굴절
역사비평
2022 .05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머리말~발해와 신라’ 부분의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2 .06
The Lens on North Korea: Source Reliance by South Korean and U.S. News of Kim Jong-Un
Korea Observer
2020 .01
북한 교과서 ‘고전시가 해석’의 한 양상 : 고등중학교 4학년 『문학』(1997)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The New Policy Frame in Recent Economic and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Korea Observer
2019 .01
김종삼 시의 기억 회상 양상 연구 -사유이미지로서 ‘몸’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2018 .01
냉전기 김일성 개인숭배 비판과 북한사 인식 : 1970년대 미국인 방북기를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19 .03
김일성·김정일 집권기 북한의 무형유산 인식과 김정은 시대의 계승 및 보호사업
무형유산
2024 .06
12음 기법을 통해 본 김종삼 『십이음계』의 반—보편지향성
한국현대문학연구
2024 .08
김종삼 시에 나타난 연대의 특성
한국문예비평연구
2020 .01
북한 영어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코퍼스 기반 분석
영어학
2022 .01
제한된 꿈에 갇힌 희망의 아이콘 : 김정은 시기 북한 영화와 TV드라마 속 아동·청소년 형상
통일인문학
2021 .06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North Korea’s China Policy under Kim Jong-un
중국지식네트워크
2022 .11
김종직의 사제관계와 도학사적 위상
漢文學報
2021 .12
김종직의 한국도학사적 위상
한국철학논집
2022 .02
북한 국어, 문학 교과서의 주체사상 교양 교육의 내용 요소 탐구
문학교육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