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오수창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역사비평 2016년 가을호(통권 제116호)
발행연도
2016.8
수록면
204 - 234 (33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core principles of modern historiography do not appear to have been fully reflected in some studies of the late Joseon period’s political history. There is still a tendency to extract lessons based on superficial similarities between past and present. This cannot be the main purpose of modern historiography. It is possible to find a category mistake on what the politics is now and then. The priority for political historians is not the restoration of superficial phenomena but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causation through political forces and political system. Politics in the late 18th and in the early 19th century were closely connected, despite sharp contrasts in their appearances. The dominance of Royal In-Law Families in the 19th century was the legacy of politics throughout the whole of the late Joseon period. King Jeongjo’s reign was the inevitable and essential link in that historical connectivity. The ancient regime of the Joseon state was bound to collapse in spite of King Jeongjo’s desperate efforts to reinvigorate it.

목차

1. 머리말
2. 정조 연간 정치를 보는 시각에 대한 토론
3. 정조 탕평정치와 19세기 세도정치의 대비
4. 세도정치와 정조 탕평정치의 계기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905-00098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