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머리말
2. 정조 연간 정치를 보는 시각에 대한 토론
3. 정조 탕평정치와 19세기 세도정치의 대비
4. 세도정치와 정조 탕평정치의 계기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총론 :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
역사비평
2016 .05
朝鮮後期 正祖의 立法觀에 관한 考察 : 『大典通編』 편찬 과정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2 .04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역사비평
2022 .08
정조의 자연·만물관과 공존의 정치
역사비평
2016 .05
19세기 정조의 잔영과 그에 대한 기억
역사비평
2016 .08
정조의 성리학적 이념과 황로정치적 모색
도교문화연구
2017 .05
조선의 정치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 탕평론ㆍ탕평책ㆍ탕평정치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6 .02
[조선 후기] 2015~2016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
역사학보
2017 .09
정조의 대학 이해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2020 .01
정조 초반 『明義錄』과 王權의 위상 - 만들어진 이미지와 실상의 경계
대동문화연구
2016 .01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사학연구
2017 .03
정조대왕의 효행과 콘텐츠로의 재현
어문논총
2023 .02
정조 군주론의 한송절충론적 양상
율곡학연구
2021 .09
정조의 성리학 이해와 정치철학의 유기적 관계
유학연구
2019 .01
경사강의(經史講義)의 안과 밖 -조선학술사에서 군사(君師)라는 지위-
태동고전연구
2020 .01
Two Memories, Two Historiographi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9 .06
실증사학의 ‘이념’ — 식민지 조선에 온 역사주의
인문논총
2019 .01
군주의 관점에서 본 군신공치 - 정조의 탕평과 의리를 중심으로 -
孔子學
2024 .02
18세기 후반 淸風金氏 仁伯系의 반척신 정치— 김치인ㆍ김종수를 중심으로 —
사림
2024 .04
Political Implications of Court Art Under King Jeongjo: Aesthetics and Production of King Jeongjo’s Visit to Hwaseong
Korea Journal
202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