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초록
1. 들어가며
2. 강을 막는 둑: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3. 민간인통제선의 안팎: 195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4. 자유로와 생태 가치: 1990년대에서 현재까지
5.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살림’의 경계를 재조립하기 : Z생협 제주의 물류 경로와 활동가 노동에 관한 연구
비교문화연구
2024 .06
동아시아 사유에 있어 의식 공간의 경계 문제
동양고전연구
2016 .01
난민 문제로 보는 섬성(Island Identity) 변화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 모던(Modern)과 경계 개념을 중심으로 -
도서문화
2021 .06
Discursive Construction of Identity Boundaries: Non-native English Teachers’ Positionality in Relation to Learners
Journal of Asia TEFL
2018 .01
For Whom the Line is Drawn: Korean Indigenous Conceptions of Boundary in the 19th Century and Changes in the Colonial Period
Korea Journal
2020 .12
탈북 여성의 경계 구획과 중첩 - 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22 .09
경계의 감각, 디아스포라의 청각과 목소리 -이용악의 디아스포라 형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2022 .03
Speaker-specific interpretation of prosodic boundaries in attachment ambiguity resolution
언어와언어학
2015 .01
탈경계 시대의 율곡학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율곡학연구
2021 .01
『개역개정』 속 ‘자유’ 어휘의 역사적 변화 양상 연구
성경원문연구
2022 .04
경계/국경과 국가 인식의 문제
역사연구
2019 .06
[독일] 경계 넘기로서 ‘한국적 독일사’: 2013~2014
역사학보
2015 .09
A Cognitive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Noun Boundaries and Articles in English
현대문법연구
2017 .01
Expansion, Contestation, and Boundary Making: Chosŏn Korea and Ming China’s Border Relations over the Yalu River Reg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0 .08
여성의 정체성 찾기와 규범의 경계 가로지르기
구보학보
2021 .08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기반 조선시대 행정구역 복원본과 제2차지형도의 행정경계 비교 연구
서강인문논총
2022 .04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어문연구
2022 .12
한강수계 신석기시대 수혈주거지 연구
문물연구
2016 .01
경계를 횡단하기 위한 서사전략 -장률 영화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