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성희 (국립중앙박물관)
저널정보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문물연구 문물연구 제30권 제30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 - 56 (5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4대강․신도시개발 등 대규모공사에 따른 발굴조사가 활발해지면서 각 지역에서의 신석기시대 竪穴住居址 자료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각 지역에서의 신석기시대의 취락과 주거지의 특징 및 변화양상 등에 대한 연구와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강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중부지역은 각 지역의 특징적인 문화가 동-서 -또는 남북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架橋 역할을 담당했던 지역이었다. 따라서 한강수계에서 지금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신석기시대 주거지유적에 대한 수계별 특징과 변화양상 및 상호교류 등을 살펴봄으로써 신석기시대 한반도 중부지방의 생활문화상을 종합적으로 복원해볼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다루는 한강수계는 일반적인 견해 가운데 한강을 중심으로 하는 중북부 내륙지역으로 한정하였고, 한강 상류에 해당하는 북한강수계와 남한강수계, 중․하류에 해당하는 본류수계, 하류에서 합류되는 임진강수계 등 네 수계로 나누었다. 행정구역상 서울․경기도․강원도 영서지방․충청북도 북부 일부지역으로, 우리나라 태백산맥 서쪽의 중간지점에 해당된다. 동쪽으로는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해중부 해안지역(영동지역)과, 서쪽으로는 한강 본류를 경계로 서해중부 해안․도서지역과 구분할 수 있다. 한강수계는 1925년 乙丑년 대홍수로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문화층이 노출되면서 처음으로 알려졌다. 1968년 이후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신석기시대 마을유적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근에는 대규모공사에 따른 발굴조사가 활발해지면서 북한강수계의 남양주․춘천․홍천․화천, 남한강수계의 영월․원주․음성․정선․제천, 본류수계의 김포․성남, 임진강수계의 양주․파주지역에서도 신석기시대의 수혈주거지가 증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수계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주거지의 입지․평면형태․면적․노지․주공․출입시설 등의 구조 속성에 대한 유사성과 상이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시기별 또는 수계별 변화양상을 도출해봄으로써 한강수계 신석기시대 생활문화상의 특징과 상호 교류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신석기시대 초기에는 지역별로 각자의 독특한 문화를 정착하며 생활하다가, 차츰 강이나 바다를 따라 이동을 시작하면서 각 지역 간의 문화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강수계는 주거지의 분포양상이나 구조적 속성 면에서는 수계별․시기별로 다소 차이는 보이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동일문화권의 범주에 두더라도 무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강이라는 큰 물줄기를 통해 이동이 용이하였기 때문에 상호 이동과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교류에 의한 문화전파를 통해 한강수계라는 하나의 동일문화권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좁은 범위에서는 남한강과 북한강, 본류와 임진강이 각각 동일문화권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신석기시대에는 강이나 바다가 중요한 교통수단이었다. 특히 우리나라 중부지방은 동에서 서로 흐르며 서해로 들어가는 한강이라는 큰 강의 물줄기를 따라 문화나 주민들이 이동하면서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을 것이다. 특히 당시 사람들의 생활 근거지였던 주거지에서는 그 분포양상이나 구조 등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유사하거나 상호 교류에 의한 영향을 엿볼 수 있는 흔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각 수계별 신석기시대 주거지에 대한 특징과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는 한반도 중부지방의 신석기시대 문화에 대한 특징과 생활상, 상호교류 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6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