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호주한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 양상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2023 .12
브라질한인 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의
한국문학과 예술
2022 .12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도시인문학연구
2017 .01
경계 위의 존재들 - 이민진의 『파친코』를 통해 본 재일조선인의 존재 방식
현대소설연구
2021 .06
아르헨티나 한인 시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어문연구
2022 .03
What We Know We Don’t Know When Jumping on the Wagon of Transnationalism: What the Transnational Turn Entails in Literary Studies?
한국 예이츠 저널
2017 .01
트랜스내셔널 문학으로서의『파친코』 (Pachinko) 연구: 정체성에 대한 상이한 인식을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2025 .02
동아시아 사유에 있어 의식 공간의 경계 문제
동양고전연구
2016 .01
경계의 감각, 디아스포라의 청각과 목소리 -이용악의 디아스포라 형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2022 .03
중국계 미국인의 정체성과 트랜스로컬적 경계 넘기 -리사 시의 《상하이 걸즈》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4 .03
재일조선인과 탈북자, 그들의 ‘경계’: 디아스포라에게 ‘국가’라는 물음
한국학연구
2022 .06
세계화의 현실과 ‘트랜스내셔널 역사학’의 의미 : 독일 역사학계 논의를 중심으로
경주사학
2015 .12
분단 극복과 통일 지향의 재일조선인 시문학 - 김시종의 시를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0 .01
‘디아스포라 공간’개념의 재고찰과 부산 : 이동의 시작에 주목하여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1
광복 70년,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
한민족문화연구
2016 .02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16 .01
식민지시기 재일조선인 여성과 ‘교회’ 공간의 구성
여성과역사
2022 .12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반란의 공간과 경계의 환상성 : 〈소현성록〉 연작과 〈현몽쌍룡기〉 연작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16 .10
주권의 등급화과 전지구적 통치성 : 트랜스내셔널한 주권의 (비)생산
HOMO MIGRANS
2018 .05
도시복합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 정보기술, 이동성에 따른 공간인지 변화의 관점에서
담론201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