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I. 서론
II. 맹자에게 있어서 생물학적 욕구
III. 맹자와 고자의 논변
IV. 고대 유가의 본성 담론: 성선악혼재설
V. 고대 유가의 본성 담론: 성무선무불선설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성기호설(性嗜好說)과 성선설(性善說)-다산(茶山)의 『맹자(孟子)』해석-
태동고전연구
2019 .01
맹자 본성의 생물학적 해석 -도덕적 본성의 몸과 기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19 .01
The Concept of “a Trust” and Its Relevance to the Right of Rebellion: Mencius and Locke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21 .02
孟夫人으로 본 보통사람 孟子 ― 역사소설 『豕蹄』를 중심으로
중국학
2020 .01
맹자의 직업사상
한국사상과 문화
2018 .01
도덕적 차원에서 바라본 공정성— 맹자 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24 .02
『맹자』 인용시 연구- 성선설(性善說)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8 .01
맹자 본성론에서 도덕적 동기와 책임의 문제
철학사상
2022 .05
맹자 성선설의 정당화 가능성에 대한 小考
퇴계학보
2016 .01
맹자 사상에서 도덕의 내재성 문제 — 孟子 義內說에 대한 朱熹의 해석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8 .01
맹자가 추구한 이상적 인간상의 특성과 역할에 관한 고찰
한국철학논집
2019 .01
성선(性善)에 기초한 맹자(孟子)의 교육관 비판
율곡학연구
2021 .09
레귀돈의 『성모현범록聖模賢範錄』에 나타난 맹자 해석
다산학
2017 .01
제임스 레게가 이해한 맹자의 성선설 - 유교 성선설과 기독교 원죄설의 절충 가능성에 관한 논쟁 -
퇴계학논집
2019 .01
도시인문학의 토대로서 맹자의 공동체 사상 연구-인문학적 도시를 향한 맹자의 기획
도시인문학연구
2015 .01
荀子의 孟子批判, 그 윤리적 의의
동양철학연구
2015 .01
맹자 해석에 나타난 尹行恁과 丁若鏞의 人物性異論 비교* — 薪湖隨筆_孟子 와 孟子要義 를 중심으로 —
동방학
2024 .08
孟子 性善說의 근거 – 良心
온지논총
2015 .01
맹자(孟子)에 나타난 ‘인(人)’ 개념의 이해
유학연구
2023 .05
고자의 16자 격률의 의미와 그에 대한 맹자의 비판에 관하여
철학연구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