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유학연구 유학연구 제43권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113 - 139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맹자는 자신의 철학이나 사상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대부분 󰡔詩經󰡕과 󰡔書經󰡕을 인용하여 논거로 삼거나 주장을 강화하는 데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孟子󰡕에 인용된 30편의 시 중에서도 성선설(性善說)과 관련하여 인용된 시를 중심으로 그 사상적 배경과 목적, 의의 등을 조명하고, 이 인용시들이 성선설의 논리구조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성선설(性善說)은 맹자의 사상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주장으로 이와 관련된 인용시는, 대아(大雅) ᐸ蒸民ᐳ ․ ᐸ旣醉ᐳ ․ ᐸ思齊ᐳ ․ ᐸ文王ᐳ 등 4편의 시들이다. 이 중 ᐸ文王ᐳ은 맹자가 가장 많이 인용한 시로, 전체적으로 총 4회에 걸쳐 인용되고 있으며, 동일한 시구가 2회에 걸쳐 중복 인용되고 있어 그 위상과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먼저 성선설(性善說)과 관련하여 맹자는, 공자의 인(仁) 사상(思想)을 더욱 진전시켜 인간의 본질인 성(性)을 선(善)으로 규정하였고, 대아(大雅) ᐸ蒸民ᐳ의 시 인용을 통해 그 기원을 언급함으로써 자신의 학설을 강화하고 그 정당성과 전통성에 권위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성선(性善)의 확충과 관련하여 맹자는, ᐸ旣醉ᐳ의 시를 단장취의(斷章取義)하여, 자신에게 고유하게 내재되어 있는 고귀한 천작(天爵)을 자각하고 인의(仁義)를 충족시킬 것을 촉구하고 있다. 또한 대아(大雅) ᐸ思齊ᐳ를 인용하여 문왕(文王)의 수신(修身)의 공효가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에까지 이르렀음을 밝히고, 인간 개개인에서 시작된 사랑이 어떻게 바람직한 이상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이상적(理想的) 인간상(人間像)과 관련하여 맹자는, 성선(性善)의 선단(善端)을 확충하는 방법이 바로 ‘반구저기(反求諸己)’임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성선(性善)이 확충되면 그 효과는 천하가 귀의하는 데까지 극대화될 것임을 강변하고, 문왕(文王)을 그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성선(性善)에 관한 확실한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