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집단 안보체제로서의 UN의 구상
Ⅲ. 냉전 이후 UN이 직면한 문제: 외부적 문제
Ⅳ. 내재적 원인
Ⅴ. Post-Pandemic과 UN의 미래
Ⅵ.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국가안전법제의 체계 연구- 신 ‘「국가안전법」(国家安全法)’을 중심으로 -
중국법연구
2017 .01
기후변화와 안보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고찰- 기후변화에 대한 UN 안전보장이사회 역할에 주목하며 -
원광법학
2016 .01
한반도 정세변화와 평화체제: 젠더적 국제정치 관점의 입론
인권연구
2018 .12
Collective Self-Defense or Collective Security? Japan’s Reinterpretation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2015 .11
한국헌법의 이중적 평화관념 : 자유와 안전보장
법학연구
2016 .08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안전권에 관한 소고
법학논집
2023 .06
1950년 한국전쟁과 유엔의 역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20 .09
한국문제를 통한 UN법의 발전
서울국제법연구
2015 .12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U.S.-China Relations in the Age of COVID-19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20 .01
최근 미국의 국가안보 관련 법제의 연구와 그 시사점
법이론실무연구
2022 .08
한국문제와 국제법상 UN의 역할 : 북한 위기상황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2017 .06
한국 국제정치학에 있어 안보연구의 경향 평가와 전망 : 1963-2000년간 국제정치논총에 게재된 관련 논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평화연구
2017 .04
Reevaluating Reforms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 Proposing a New G20+6 Model
21세기정치학회보
2020 .03
사이버 평화론에 대한 소고: 신흥안보 시대의 대안적 접근
정치정보연구
2023 .02
판문점 체제의 기원과 변화 : 한반도 평화의 제도적 변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
경제와사회
2018 .09
냉전체제, 분단체제, 전후체제의 복합성과‘한반도 문제’에 대한 재성찰: 2015년 한반도를 둘러싼 기억과 담론의 경쟁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15 .01
Conceptualizing and Framing Economic Security?: The Case of 30 Year Russian?Korean Security Relations Tested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21 .01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전략과 경제안전보장추진법
TRADE&SECURITY 저널
2022 .06
EU and UN Cooperation in 21st Century Global Security
유럽연구
2016 .06
인간안보론 관점에서 본 남북교류 · 협력의 가능성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