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한국문제에서 UN의 권능
Ⅲ. UN개입의 주요 국제법적 논의
Ⅳ. 북한 위기상황 시 UN의 역할
Ⅴ. 결론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문제에서 유엔사의 지위와 역할
국방연구
2017 .12
1950년 한국전쟁과 유엔의 역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20 .09
한국문제를 통한 UN법의 발전
서울국제법연구
2015 .12
유엔묘지에서 재한 유엔기념묘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1955~1960년을 중심으로 -
군사
2021 .06
유엔과 대한민국의 건국과 발전: 돗슨(Dodson) 보고서와 UNKRA와 UNCACK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학논집
2020 .06
UN의 한국문제 기여와 북한 위기상황 시 UN의 참여
국방정책연구
2016 .01
Making of the ‘Korean Question’:A Reassessment of India’s Position at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20 .12
Is an Instant Nation Really a Nation?
Global Asia
2015 .03
유엔군사령부의 법적 지위와 존속 및 해체 문제에 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
2019 .12
코로나19가 가져온 유엔의 모습
계간 외교
2020 .10
Defeat in Afghanistan: Lessons Ignored, The Deeper Lesson: The American Culture of War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2021 .12
United States-United Nations Relations in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Conflict over Aid Operations and War Expenses
Korea Journal
2020 .06
북한의 위기상황과 안정화 방안
북한연구학회보
2015 .01
혐오표현에 관한 국제연합의 전략과 행동계획: 국제연합 현장조직을 위한 세부 이행 지침
민주법학
2021 .01
헌법상 민족의 의미
법과정책
2017 .01
국제평화와 안전의 보장과 UN의 한계와 미래 : 집단 안보체제로서의 UN은 유효한가?
평화학연구
2020 .12
실패국가에 대한 국제사회 개입 문제 : 북한 관련 함의와 대응방안에 소고
서울국제법연구
2017 .06
국제연합군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한 적법성에 관한 연구
아주법학
2022 .11
한국전쟁과 유엔 참전국: 보훈외교를 중심으로
한국보훈논총
2016 .12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 군사적 개입의 명분과 과제
국제관계연구
2015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