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
2. 신규 회원국 가입절차의 명확화
3. 상임이사국 결석의 의미 확인
4. 비상특별총회 제도의 도입
5. 국제평화와 안전에 관한 총회의 역할 확인
6. 헌장이 예정하지 않은 UN군의 창설
7. 결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문제와 국제법상 UN의 역할 : 북한 위기상황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2017 .06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정상 UN 총회의 역할: 제기되었던 국제법적 쟁점
국제법학회논총
2021 .06
국제법과 국제정치의 접점으로서 소프트로의 역할 : 유엔 총회 ‘평화를 위한 단결’ 결의의 조약법상 효과를 중심으로
동아법학
2017 .08
1950년 한국전쟁과 유엔의 역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20 .09
국제평화와 안전의 보장과 UN의 한계와 미래 : 집단 안보체제로서의 UN은 유효한가?
평화학연구
2020 .12
한국문제에서 유엔사의 지위와 역할
국방연구
2017 .12
인도태평양 시대 유엔과 동북아시아의 정당성 경쟁
통일과 평화
2022 .06
유엔과 대한민국의 건국과 발전: 돗슨(Dodson) 보고서와 UNKRA와 UNCACK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학논집
2020 .06
‘공중 보건’ 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 WHO 및 UN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환경법연구
2015 .01
Reevaluating Reforms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 Proposing a New G20+6 Model
21세기정치학회보
2020 .03
유엔 헌장 2조 4항 제정 과정을 통해 본 국제관계의 냉엄한 현실과 한반도 정세
정신전력연구
2018 .05
유엔묘지에서 재한 유엔기념묘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1955~1960년을 중심으로 -
군사
2021 .06
‘북한문제’의 해결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역할 -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
법과정책
2015 .01
국제연합군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한 적법성에 관한 연구
아주법학
2022 .11
실패국가에 대한 국제사회 개입 문제 : 북한 관련 함의와 대응방안에 소고
서울국제법연구
2017 .06
유엔군사령부의 법적 지위와 존속 및 해체 문제에 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
2019 .12
한반도 문제의 해결과 3단계 평화론: 적극적 평화론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2015 .08
On Peace Capital: The Case of Academic Cultural Capital Inside the United Nations and its Universities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2017 .01
It Takes Three to Make a Korean Peace
Global Asia
2019 .06
유엔 가입 30년과 새로운 30년 : 국제평화와 정의를 위한 한국의 역할
서울국제법연구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