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중국인에겐 ‘얄미운’ 한국, 그러나 전략적인 중국 정부
2. 철저히 미중 전략경쟁 구도로 한국을 보는 중국
3. 상대 사회에 대한 이질감 격화, 한중 관계 중대 변수 된 국민 감정
4. 한중 수교 30주년, 서른 잔치는 끝났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New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Korean Diplomatic History: Diplomatic Documents of Korea (2009-2018) and Korea’s Foreign Relations and Diplomatic History (2019)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4 .06
한중 수교 30년의 평가와 전망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09
한중 수교 30주년의 회고와 향후 한중 관계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09
수교 이후 한중관계의 평가와 신형관계(新型關係)를 위한 정책제언
아시아문화연구
2020 .08
중세 일본의 외교권
대동문화연구
2021 .01
사드 배치와 중국의 대한국 강압외교 동인
동아연구
2018 .01
중국의 외교문서 공개 및 출판 사례 연구-대륙과 대만의 사례를 포괄하여-
史叢(사총)
2020 .01
중국의 부상에 따른 한-미-중 외교관계 변화와 한국의 대응
민족연구
2015 .01
한・중 외교 브리핑 담화에 반영된 ‘개입’ 연구
이중언어학
2022 .03
중국의 한일수교 기본인식 연구-정치 현실과 현상 인식의 부조화 맥락
중국지식네트워크
2016 .11
现代韩国王维研究动态分析——以韩中正式建交后为中心
중국학
2024 .06
『朝鮮義勇隊通訊』의 旣影印刊物에 누락되었던 號·期·面들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교문서 교육 내용 개발
어문론집
2023 .06
North Korea's diplomatic relations and their impact on trade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2
포츠머스조약 체결과 한국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시선 - 러시아 국방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중 외교 문서 연구
어문론집
2022 .12
중국 정치외교용어의 한국어 대응어 비교 연구
번역학연구
2023 .06
Rice Diplomacy Between Indonesia and South Korea: 1977-199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4 .12
한일 외교·역사 현안에 대한 역사학자의 견해
역사와현실
2023 .06
중국 베이징 지역 역사 연구의 동향과 특성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10
0